뉴스
“국산 기름 한 방울 없다?”…70년 식용유史, 수입 의존의 민낯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우리 식탁에서 식용유는 언제부터 당연한 재료가 됐을까. 참기름 한 방울로 풍미를 냈던 시절을 지나 대두유로 볶고 튀기던 산업화의 시대, 그리고 건강을 우선시하는 저온압착 오일의 부상까지. 식용유 한 방울에 담긴 70년의 변화는 한국인의 식생활을 관통하는 중요한 단서다. 6·25 이후 한국 식용유 산업과 식문화 변화, 원료 수입 구조, GMO 논쟁, 전통 기름의 현재까지 한국 식용유의 70년, 그 격동의 흐름을 짚는다.<편집자주> 전쟁과 함께 온 기름…한국 식용유의 첫 등장 한국 사회에서 식용유가 본격적으로 식탁에 오르기 시작한 것은 6·25 전쟁 이후였다. 전쟁 직후인 1950년대 초반, 미국의 구호물자(PL480)로 옥수수기름, 쇼트닝, 마가린 등 서구식 식용유 제품이 대거 유입되면서다. 당시 대부분의 한국 가정은 기름 없이 조리하는 식문화를 유지하고 있었다. 전통적인 조리법은 구이, 찜, 삶기, 무침, 조림 중심으로, 기름은 일부 참기름이나 들기름 등 향미용으로만 제한적으로 사용됐다. 튀김은 일부 사찰 음식이나 명절 음식에 국한돼 있었고, ‘프라이’라는 조리 개념 자체가 낯선 문화였다. 하지만 전후 원조물자에 포함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