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자치단체의 음식업소 등에 대한 위생점검이 형식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시민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평년보다 3~4도 높은 기온이 계속되는데다 가정의 달을 맞아 나들이로 인한 도시락 사용이 늘면서 식중독 발병에 대한 우려감이 증폭되고 있어 인력증원 등 근본적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9일 광주시와 일선 구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지역에서는 모두 7건의 식중독(환자 113명) 사례가 발생했다.학교급식업소에서 4건, 기업체 급식소 1건, 군부대 1건, 일반음식점에서 1건이었다.
2006년에도 학교급식업소 5건, 일반음식점 1건 등 모두 6건에 198명의 환자가 발생하는 등 광주지역에서는 해마다 수백명의 인원이 식중독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하지만 각 구청의 음식취급업소에 대한 위생점검은 연 1~2회에 불과한데다 그마저도 유통기한 경과여부 등을 살펴보는 육안점검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
위생점검에서 적발 되더라도 음식업소의 영업차질을 우려해 대부분이 시정조치 되거나 계도차원에 그치고 있어 시민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이는 각 지자체마다 점검대상이 수백여곳에 이르는 것에 비해 이를 담당하는 공무원이 3~4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모 구청 관계자는 “수백군데에 이르는 음식업소를 한꺼번에 모두 점검할 수는 없고 인원에도 한계가 있어 특별감시대상을 선정해 종사자의 청결상태나 유통기한 경과여부 위주로 실시하고 있다”며 “위반 사항이 적발되더라도 다중 급식시설의 경우 영업정지 등으로 급식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는 문제 때문에 경각심을 주기 위한 계도위주의 단속에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광주광역시와 5개 구청은 지난달 집단급식업소 등 식중독 집중관리업소 668곳에 대한 위생점검을 실시, 시설을 위반(4건)하거나 종사자 건강진단 미필(13건), 위생취급기준 위반(3건) 등 모두 33곳을 적발했다.
이중 위반사안이 중대한 8곳의 업소에 대해 영업정지를 내리고 나머지는 시정지시를 내리거나 현지에서 시정조치 했다.
이번 점검은 광주광역시가 식중독 우려 집중관리업소로 관리하고 있는 1340곳의 절반에 대해 이뤄졌으며 나머지 600여곳의 업소에 대해서는 하반기에 이뤄질 예정이다.
광주시와 각 구청은 인원 한계 때문에 집중관리업소를 상·하반기로 나누어 1년에 2차례(업소당 1차례)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광주시 관계자는 “대상은 많고 인원이 적은 한계 때문에 육안검사로 진행되는 부분이 없진 않다”면서도 “계도위주의 단속이 음식업 종사자들에게 경각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왕진호)은 최근 기온상승으로 인한 식중독 발생이 우려된다며 집단급식소 등에 식재료 관리와 종사자들의 개인위생 등을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
푸드투데이 장은영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