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에 이어 전남 지역에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병이 확인된 가운데 AI가 광주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광주 지역 지방자치단체들에 비상이 걸렸다.
14일 광주시와 5개 자치구에 따르면 이들 지자체는 전북 지역 AI 발생 직후인 지난 4일부터 AI 방역대책을 총괄하는 `특별방역대책 상황실'을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상황실은 관내 가금류 농가들에 매일 전화를 걸어 AI 발병이 의심되는 상황이 발생했는지 점검하고 매주 1-2차례 농가를 직접 방문해 예찰 활동을 하고 있다.
또 생석회 등 소독제 1200㎏을 가금류 농가들에 배분, 자체 소독 활동을 하도록 하고 소독방제차량이 주 1회 농가를 방문해 분무 소독 작업을 벌이고 있다.
도계장에 대한 관리도 강화돼 시는 광주 북구 양산동에 있는 도계장에 출하된 가금류에 대해 혈청검사 등을 실시하고 매주 1회 소독차량을 보내 소독작업을 하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AI에 대한 주민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져 AI 발생이 가금류 소비 위축으로 곧바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다"며 "가금류 고기를 75℃ 이상 고온에서 5분 동안 익히면 AI 바이러스가 살균되니 안심하고 드셔도 좋다"고 말했다.
광주에서는 지난해 11월 북구의 한 오리농가에서 저병원성 AI가 발생해 주변 농가 4곳의 오리 1만6000여 마리를 살처분하고 방역 작업을 벌였었다.
광주 지역에는 지난해 말 기준 가금류 농가 195곳에 가금류 59만800여 마리가 사육되고 있으며 종별로는 오리가 28만7000여 마리로 가장 많고 메추리 15만3000여 마리, 닭 14만8000여 마리 등이다.
푸드투데이 장은영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