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렁이 단팥빵' 사건의 제보자 가운데 1명이 금품을 요구한 사실이 밝혀졌지만 궁금증은 여전히 남아 있다.
관심의 초점은 무엇보다 `자작극'일 가능성이다.
28일 이 사건을 수사중인 광주 북부경찰서의 중간수사결과 발표에 따르면 발견자인 일용직 근로자 송모(38)씨와 송씨를 부추겨 함께 제보한 신발창고 주인 김모(54)씨는 경찰 조사에서 "지렁이가 단팥빵에 들어 있었던 것은 아니다"고 진술했다.
이 같은 진술은 지렁이가 제조나 유통 과정에서 빵 속에 들어가지 않았다는 제조사 A사 측의 주장과 일치하고 있지만, 송씨는 그러면서 "빵을 구입한 편의점 골목에서 봉지를 뜯어 빵을 먹었다. 빵을 바닥에 내려놓지는 않았다"라고 말했다.
송씨의 말대로라면 지렁이가 빵 속에 들어 있을 수 있는 가능성은 위에서 떨어져 들어갔거나 누군가가 지렁이를 일부러 빵 속에 집어넣는 수밖에 없다. 송씨 등의 완강한 부인에도 불구하고 `자작극'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다.
경찰도 이 같은 의문점을 해소하기 위해 문제의 지렁이를 빵과 함께 국립과학수사연구소에 보내 동물 부검을 의뢰, 지렁이가 죽은 시점과 원인 등을 규명키로 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궁금증은 제보 번복을 대가로 금품이 실제로 지급됐는 지 여부다.
당시 송씨와 제보를 부추겼던 김씨는 사건이 발생한 24일 오후 4시께 광주에서 A사 관계자와 만나 `제조과정 상 지렁이가 들어있을 수 없다'는 설명을 듣고 제보 내용을 번복했다.
하지만 경찰은 이날 중간수사 발표에서 김씨가 A사 측에 5천만원을 요구한 것은 다음날인 25일 오전이라고 전했다. 24일 오전 A사 측에 신고했던 김씨가 제보를 번복한 뒤, 그것도 하루가 지나서야 돈을 요구했다는 점은 이해하기 힘든 대목이다.
경찰 역시 이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송씨 등의 은행 계좌를 압수수색하겠다는 방침이지만 돈 거래 여부와 내역을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이번 사건을 주도하고 직접 돈을 요구한 것으로 밝혀진 김씨의 진술이 수 차례 오락가락한 점에도 의심의 눈길이 쏠린다.
김씨는 27일 오전부터 진행된 경찰의 1차 조사에서 "송씨가 빵을 한 입 물어 먹다가 이물감을 느껴 바닥에 뱉었는데 그 속에 지렁이가 있었다"고 말했지만 정작 직접 빵을 먹었던 송씨는 "빵을 한 입 물어 먹었을 때는 아무 이상이 없었지만 다시 먹으려고 보니 지렁이가 들어 있었다"고 전혀 다른 진술을 했다.
2차 조사에서도 마찬가지다. 김씨는 1차 조사에서 "돈을 요구한 적이 없다"고 말했지만 1차 진술을 마치고 나간 뒤 30분이 지나 스스로 찾아와 "내가 사실은 2000만원을 요구했었다"고 말했다.
결국 김씨는 송씨, A사 관계자 등과 함께 진행된 마지막 대질 조사에서 "요구했던 돈은 5000만원이었다. 송씨가 지렁이를 먹다가 뱉었는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다"라고 진술을 뒤집었다.
푸드투데이 장은영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