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 입맛 돋우는 왕고들빼기 "항산화 성분 풍부"

  • 등록 2025.03.21 10:42:37
크게보기

농진청, 효능.생김새.김치 레시피 소개

 

[푸드투데이 = 노태영기자]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21일 환절기를 맞아 약초지만, 나물이나 김치를 만들어 먹어도 좋은 왕고들빼기 효능과 생김새가 비슷한 다른 식물과의 구분 방법을 소개했다.

 

우리나라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왕고들빼기는 쓴 뿌리 나물이라는 뜻의 고돌채에서 이름이 유래했고, 쌉쌀하면서 고소한 맛이 나 3~4월에는 어린잎, 10~11월에는 뿌리를 나물이나 무침, 김치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한다.

 

왕고들빼기에는 몸에 유익한 항산화 성분이 다량 함유돼 있는데 농촌진흥청 분석 결과, 왕고들빼기 뿌리보다 잎에 총 폴리페놀이 2배 이상, 총 플라보노이드는 약 10배 이상 더 많이 들어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성분은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기존 연구에는 왕고들빼기에 함유된 락투신 등 항염 성분이 체내 염증을 완화해 신경 안정,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가 있으며, 한의학에서도 왕고들빼기가 몸의 열과 독소를 제거하고, 위장을 튼튼히 해 소화력을 높인다고 전한다.

 

 

왕고들빼기 속(Lactuca)에 속하는 왕고들빼기는 선씀바귀 속(Ixeris)에 속하는 노랑선씀바귀와 맛과 먹는 부위,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왕고들빼기는 잎이 깊게 갈라져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창 모양이며, 줄기에 털이 있고 하나의 굵은 뿌리가 아래로 길게 자란다.

 

노랑선씀바귀는 잎이 좁고 줄기에 털이 거의 없으며, 뿌리가 여러 갈래로 나뉘어 뻗고, 두 식물 모두 7~9월경 노란색 꽃이 피지만, 왕고들빼기는 꽃줄기가 노랗고, 선씀바귀는 검은색을 띤다.

 

김금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특용작물이용과장은 “토종 약초인 왕고들빼기는 봄철 입맛을 살리고 몸의 활력을 채워주기에 안성맞춤인 식물이다.”라며 “앞으로도 잘 알려지지 않은 약초 자원의 잠재적 가치를 발굴해 소비자 건강 증진에 기여하도록 하겠다.”라고 전했다.

 

왕고들빼기 김치 레시피 

 

재료 

- 고들빼기 4단 (약 1.2-1.5kg)

- 쪽파 500g

- 고춧가루 250-300g

- 찹쌀풀 (찹쌀가루 3큰술, 물 200ml)

- 양파 1개, 사과 1/2개, 배 1/4개

- 다진 마늘 4큰술, 다진 생강 1작은술

- 새우젓 3큰술 또는 멸치액젓 3큰술

- 매실액 5큰술 또는 물엿 5큰술

- 통깨

 

 

1. 고들빼기를 깨끗이 씻어 손질하고, 물 4-6L에 소금 1컵(200ml)을 섞어 절임물을 만든 다음 고들빼기를 하루 동안 담가둔다.

 

2. 양파, 사과, 배를 믹서기에 갈아주고, 찹쌀풀을 만들어 식힌 다음 고춧가루, 다진 마늘, 다진 생강, 새우젓, 멸치액젓, 매실액, 물엿 등을 섞어 양념을 만든다. 

 

3. 절인 고들빼기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빼주고 준비한 양념에 고들빼기를 넣고 골고루 버무린다.

 

4. 썬 쪽파를 넣고 가볍게 섞어주고, 통깨를 뿌려 완성한다.

 

 

 

 

푸드투데이 노태영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




(주)뉴온미디어 | 발행인/편집인 : 황리현 | 등록번호 : 서울 아 01076 등록일자 : 2009.12.21 서울본사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TEL. 02-2671-0203 FAX. 02-2671-0244 충북본부 : 충북본부 :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TEL.070-7728-7008 영남본부 : 김해시 봉황동 26-6번지 2층 TEL. 055-905-7730 FAX. 055-327-0139 ⓒ 2002 Foodtoday.or.kr. All rights reserved. 이 사이트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 푸드투데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