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향자 교수의 건강코디

  • 등록 2007.06.19 17:09:41
크게보기

도토리묵의 재료인 도토리는 참나무과의 낙엽지는 넓은 잎 큰키나무인 도토리 나무의 열매를 말한다. 또한 우리나라 전국의 산에 널리 자생하고 있다.

모양은 구형·난형·타원형 등이 있으며 크기도 다양하다. 겉에는 단단하고 매끄러운 껍질이 있고 그속에 1개의 커다란 씨가 들어 있다.

아래쪽 또는 중간 정도까지 깍정이로 싸여 있는데, 이것은 밤의 가시껍질처럼 표피가 변화한 것이다. 깍정이는 염색에도 사용이 되는데 염색에는 이 깍정이 부분과 열매의 껍질을 모두 사용하며 염색성은 깍정이 부분이 더 좋다.

철매염으로 흑갈색, 철매염 후 아세트산을 가하면 음빛이 도는 회색으로 염색되며, 크롬매염에 의하여 황토색으로 염색된다.

도토리에는 참나무 열매로 탄수화물과 지방이 많아 옛날부터 식용해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전세계적으로 고대의 주거지에서 도토리가 발견되고 있어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1974년 서울 암사동에서 BC 5000년 것으로 보이는 신석기시대 주거지가 발굴되었을 때, 이 주거지에서 탄화된 도토리알 20톨이 발견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오랜 옛날부터 식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옛말에 “도토리나무는 들판을 내다보고 열매를 맺는다”라는 말이있다. 이는 가뭄 때문에 흉년이들었을 때, 참나무에서 열린 많은 도토리를 곡식 대신 먹었음을 가리키는 것으로, 우리나라에는 흉년을 대비한 구황식물로 첫번째는 도토리를, 그다음으로 소나무를 삼았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벼가 도입되면서 도토리보다는 벼나 보리를 주식으로 쓰게 되었고, 가뭄이 들었을 때 곡식 대신으로 먹거나 도토리묵 또는 도토리빈대떡을 만들어 먹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요즈음에도 도토리묵은 고유 음식물 가운데 하나로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도토리수제비나 도토리국수를 만들어 먹기도한다.

그러나 도토리에는 탄닌 성분도 많아서 날것은 너무 떫어 먹을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떫은맛과 앙금은 이 고분자의 탄닌인데, 감·차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도토리묵은 무공해식품으로 탄닌 성분이 많아 소화가 잘 된다. 탄닌은 도토리를 묵으로 만드는 과정 중 많이 없어지게 되는데, 남아있는 탄닌의 양이 알맞으면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동의보감’에는 늘 배가 부글거리고 끓는 사람, 불규칙적으로 또는 식사가 끝나자마자 대변을 보는 사람, 소변을 자주 보는 사람, 몸이 자주 붓는 사람은 도토리묵을 먹으면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도토리묵을 먹으면 심한 설사도 멈춘다고 하였는데 이 또한 탄닌 성분 때문이다.

또한 도토리 속에 들어 있는 아콘산은 중금속 해독에 탁월한 효능을 보인다.

도토리묵은 장과 위를 튼튼하게 하고, 성인병 예방과 피로회복 및 숙취회복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등 여러 효능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요즈음에는 다이어트식품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도토리묵은 수분함량이 많아 포만감을 주는 반면 칼로리는 낮고, 탄닌 성분이 지방흡수를 억제해 주기 때문이다.

도토리묵을 만드는 과정은 그리 복잡하지 않다. 가을에 주운 도토리의 껍질을 까서 잘 말린 후 절구로 빻은 것을 물에 담가 떫은맛을 우려낸다.

앙금과 물이 분리되면 웃물만 따라내는 과정을 여러 번 거친 후 가라앉은 앙금을 잘 말려 가루로 만든다. 이 가루를 물에 풀어 풀을 쑤듯이 끓이다가 끈적끈적하게 엉길 때 그릇에 부어 식히면 도토리묵이 된다.

겨울철에는 메밀묵을 주로 만들고 도토리묵은 사철 만든다.

대개 간장·파·참기름·고춧가루·깨소금 등을 넣어 무쳐서 먹는데, 때로는 배추김치를 썰어서 넣기도 한다.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묵요리로는 탕평채(蕩平菜)가 있다.



푸드투데이 fenews 기자 001@fenews.co.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




(주)뉴온미디어 | 발행인/편집인 : 황리현 | 등록번호 : 서울 아 01076 등록일자 : 2009.12.21 서울본사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TEL. 02-2671-0203 FAX. 02-2671-0244 충북본부 : 충북본부 :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TEL.070-7728-7008 영남본부 : 김해시 봉황동 26-6번지 2층 TEL. 055-905-7730 FAX. 055-327-0139 ⓒ 2002 Foodtoday.or.kr. All rights reserved. 이 사이트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 푸드투데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