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치킨 프랜차이즈 제품의 중량 편차가 브랜드별·매장별로 크게 벌어지지만, 상당수 업체가 여전히 중량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K-푸드 대표 품목으로 성장한 치킨 시장에서 기본 정보조차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중량 표시 의무화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시장점유율 상위 7개 치킨 프랜차이즈의 후라이드·순살 제품을 대상으로 중량과 정보 표시 현황을 조사했다. 조사기간은 10월 23~31일, 11월 11~12일이며 동일 매장에서 배달·포장 방식으로 2차례 구매해 중량을 비교했다.
조사 결과 후라이드 치킨 6종의 1마리 평균 중량은 780.9g이었다. 가장 적은 브랜드는 교촌치킨(684.5g), 가장 많은 브랜드는 BHC(852.5g)로 약 1.2배 차이가 났다. 순살 메뉴 7종 가운데서는 네네치킨 ‘오리엔탈파닭 순살’이 1102.9g으로 가장 무거웠고, BHC ‘뿌링클 순살’은 527.4g으로 가장 가벼웠다.
동일 매장에서 같은 메뉴를 두 차례 구매했을 때 중량 차도 컸다. 후라이드는 평균 55.4g의 편차가 있었으며, BHC 제품은 183.6g(19.4%)까지 벌어졌다. 순살 제품은 평균 68.7g 차이를 보였고, BBQ ‘황금올리브 양념 순살’은 243.8g(30.6%)로 가장 큰 차이를 기록했다.

중량 표시 실태는 더 미흡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가 7개 브랜드의 배달의민족·쿠팡이츠·땡겨요 등 배달앱과 자사 홈페이지를 확인한 결과, 중량 정보를 표시한 곳은 교촌치킨과 BHC 두 곳뿐이었다. 나머지 5개 브랜드는 앱과 홈페이지 어디에서도 중량을 확인할 수 없었다. 공공배달앱인 땡겨요 역시 BHC 일부 제품만 표시하고 있었다.
업계는 조리 과정에서 조리 전·후 중량 차이가 발생해 정확한 표시가 어렵다는 입장이지만, 조사에서는 동일 매장 내에서도 수백g 차이가 발생해 관리 기준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조리 전 중량만 표시하는 방식도 완제품과 괴리가 커 정확한 정보 제공으로 보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치킨은 배달·외식 소비 비중이 높고 제품 가격도 높은 편이지만 중량과 구성 정보를 소비자가 사전에 확인하기 어렵다”며 “정부가 검토 중인 치킨 중량 표시 의무화를 통해 소비자 권익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앞으로도 외식 브랜드의 가격·구성 변동과 슈링크플레이션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