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홈플러스가 본사 인근 가양점을 비롯해 15개 점포 폐점을 발표했다. 홈플러스는 18일 15개 점포에 대한 순차적 폐점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폐점 대상 점포는 서울 시흥점과 가양점, 일산점, 인천 계산점, 안산고잔점, 수원 원천점, 화성동탄점, 천안신방점, 대전 문화점, 전주완산점, 대구 동촌점, 부산장림점, 부산감만점, 울산북구점, 울산남구점 등이다.
조주연 공동대표는 임직원에게 보낸 메시지를 통해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한다면, 인가 전 인수합병(M&A)를 통한 회생 자체가 위태로워질 수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라며 “더 이상 미룰 수 없어 최후의 생존경영에 돌입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위기는 단순한 유통기업의 경영 이슈가 아닌, 민생경제와 고용안정에 직결되는 문제”라며, 정부의 정책적 관심과 지원 역시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노조 측은 반발 중이다. 안수용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장은 “홈플러스의 긴급 생존경영 체제 돌입은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의 자구노력이 전혀 없는 채 또다시 회사를 쥐어짜는 것”이라며 “홈플러스의 브랜드 가치는 전국 각지에서 운영되는 매장에 있는데, 이들 매장을 포기한다는 것은 곧 홈플러스를 포기하는 것이다. MBK가 분할 매각 없이 통매각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이번 결정은 그 약속을 뒤집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민병덕 의원도 1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의 대규모 폐점 계획은 대주주 MBK의 ‘먹튀 선포’와 다름없다”며 “폐점 계획 철회와 함께 대주주 MBK의 자구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3월 법원의 기업회생 개시 결정을 받은 뒤 인가 전 M&A를 추진 중이다. 법원 조사위원인 삼일회계법인 평가에 따르면 기업계속가치(2조5000억원)보다 청산가치(3조7000억원)가 더 높게 산정된 상태다.
사측은 임대료 협상이 최종 결렬될 경우에 해당 점포 직원들을 인근 점포로 재배치해 고용을 보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