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존슨앤드존슨이 ‘아는 것이 약입니다’ 캠페인의 일환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약학과 이병구 교수팀과 함께 학생 88명에게 진통제의 복용 현황, 복용 시기, 복용 방법 등에 대해 설문을 실시한 결과 통증이나 성분 구분 없이 진통제를 복용하는 경우가 절반(48.9%)에 달했으며 생리통의 경우 막연한 내성걱정으로 진통제 복용을 하지 않고 그냥 참는 경우가 31.6% 달하는 등 여대생들의 진통제에 대한 상식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대생, 두통과 생리통이 가장 큰 진통제 복용 원인 – 48.9% 통증 따른 진통제 구분 안 해
여대생들이 진통제를 복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두통이 42.9%(63명) 생리통 42.2%(62명)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 외에는 치통 6.1%(9명)과 근육통 4.8%(7명)이 꼽혔다. 여대생들의 51.1%(45명)는 이러한 통증의 성격에 따라 진통제를 구분하여 복용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그러나 ‘통증별로 진통제를 구분하지 않거나 그런 방법을 모른다’고 답한 이도 30.7%(27명) 에 달했으며 나머지 18.2%(16명)는 ‘약국에서 주는 대로 복용한다’고 답해 진통제를 선택할 때 약사나 전문가를 통해 통증에 따른 진통제 선별상식 등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파악됐다.
◆여대생 1/3, ‘생리통 그냥 참는다’ 내성 걱정 때문
또, 생리통 진통제 복용 시점에 대해 물은 결과에서는 ‘생리 시작 직전∙직후에 진통제를 복용한다’고 대답한 경우가 20.2%(23명)에 그쳤으며 44.7%(51명)는 ‘생리통을 견딜 수 없을 때까지 참았다가 복용한다’고 답했다. 생리통 진통제의 진통 효과를 제대로 보기 위해서는 생리 시작 2~3일 전에 복용하는 것이 좋은데 대다수가 잘못된 시점에 진통제를 복용하고 있는 것. 또, 생리통이 심해도 진통제를 복용하지 않는 이가 31.6%(36명)에 달했는데, 이들이 진통제 복용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는 ‘내성 걱정’ (63.9%; 36명 중 23명) 때문이었다.
카페인은 자주 복용하면 내성이 나타나므로 카페인이 포함된 진통제 복용할 때 주의해야 한다. 우먼스 타이레놀 같은 무카페인 성분의 진통제를 생리 시작 2~3일 전이나 생리 시작 직후 사용설명서에 따라 복용한다면 내성 걱정 없이 진통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응답자 대다수가 진통제의 성분을 구분하지 않고 있었다. 진통제의 성분 구분에 대한 경험을 묻는 질문에서 47.7%(42명)는 ‘약 성분을 따져본 적이 없다’고 답했으며, ‘진통제 성분은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아 모른다’는 응답이 40.9%(36명)에 달했다. 진통제 구입 후 약 성분을 파악하는 이는 9.1%(8명), 구매 전, 성분을 꼼꼼히 따져 보고 자신에게 맞는 진통제를 구입하는 경우는 2.3%(2명)에 머물렀다.
진통제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입할 때 성분을 제대로 확인하고 증상에 따라 구분하여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진통제는 단일성분 진통제 사용이 권장되는데 해열진통제 성분으로는 해열 및 단순 통증에 효과가 좋은 아세트아미노펜이 있으며 치은염이나 구내염 같이 염증을 동반한 통증에 효과가 있는 소염진통제 성분으로 이부프로펜과 덱시브프로펜이 있다. 이 중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성분 진통제는 타이레놀이 대표적이며 위나 장에 주는 부담이 적어 하루 중 어느 때나 공복에도 복용 가능하다. 또한 카페인이 포함되어있지 않아, 내성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다.이렇듯 진통제는 성분을 알아두면 복용 시기나 내성 등의 고민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진통제 복용 전 반드시 성분을 확인하고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기약, 진통제 함께 복용 25% - 성분 과다복용 막으려면 진통제 성분 미리 확인 필요
한편 성분 중복이 우려되는 약 복용 습관을 가진 경우도 많았다. 평소 진통제 복용 경험에 대한 질문에서 ‘종합감기약과 진통제를 함께 복용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이가 25%(20명), ‘진통제 복용 후 1~2시간 뒤 다른 진통제를 복용했다’고 응답한 이도 20%(16명)에 달했다. 종합감기약은 감기와 관련한 여러 증상을 완화시키는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대부분 진통제 성분까지 들어있다. 이를 따져 같은 성분을 빼지 않고 진통제를 단 시간 내에 중복 복용하면 성분 과량 복용의 우려가 있다. 일례로 약국에서 판매하는 타이레놀 콜드-에스정의 경우 콧물, 코막힘, 가래 등의 감기증상을 완화하는 성분과 두통 및 해열에 효과적인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만약 감기 기운이 있어 종합감기약 타이레놀 콜드-에스정을 구입 해 복용한 뒤 두통이 있다고 타이레놀 500mg같은 진통제를 다시 복용하면 자신도 모르게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을 과다 복용하게 될 수도 있다.
이번 설문을 실시, 분석한 이화여자대학교 약학과 이병구 교수는 “흔히 복용하는 진통제일 수록 성분 확인 및 성분 구분에 따른 복용법을 알아 두는 것이 좋다. 약 사용 설명서를 읽으면 자신에게 맞는 성분인지, 적절한 복용 시점과 복용 주의점이 무엇인지 알 수 있으므로 식품 성분을 따질 때처럼 약 사용설명서도 따져 읽기를 권장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존슨앤드존슨은 '아는 것이 약입니다' 캠페인을 통해 타이레놀 해열진통제, 감기약 등 일반의약품을 복용함에 있어 꼭 알아야 할 정보를 널리 알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