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청은 의약품 사용과정에서 발생한 부작용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국내의 약화사고 사전예방 시스템을 한 단계 제고시킬 수 있는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설립 약사법 개정안이 지난달 국회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은 정상적인 사용범위에서도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부작용 정보를 신속히 수집·평가해 조치가 필요하나 국내에서는 전담 전문기관 및 인력이 부족해 주로 미국.유럽 등 선진국의 조치에 의존해왔다.
그간 국내에서는 부작용 보고 활성화를 위해 2006년 부터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지역약물감시센터를 설치·운영(현재 20개소)해 양적으로는 자발적 부작용 보고건수가 선진국 수준(2009년 2만 6827건, 2010년 5만 3854건)에 도달했다.
하지만 보고내용을 전문적으로 관리할 인프라 부족으로 그 활용이 미흡해, 이번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신설 법안 통과로 2005년 국회 입법 발의된 지 7년여 만에 자체적으로 의약품 안전성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 것이다.
관리원의 주요기능은 ▲약화사고 등 의약품 부작용의 인과관계 조사·규명 ▲ 부작용보고 사이트 개설·운영 ▲ 의약품안전정보 수집·분석·평가 및 제공 ▲ 의약품 DUR 정보 생산·가공·제공 등이다.
한편 올해 설치될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서는 국내·외 허가정보 및 임상문헌 등을 토대로 '의약품 적정사용정보(DUR)」'를 조속히 개발함으로써 의사 및 약사에게 의약품 처방·조제시 의약품 안전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 부적절한 약물 사용으로 인한 약화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간 식약청에서 개발한 '의약품 적정사용정보(DUR)'를 보건복지부 및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활용해 작년부터 전국 병·의원은 물론 약국 등으로 확대해 제공하고 있으나, 현재 2000개 수준에 불과한 상태(미국 2만)로, 동 관리원이 설립되면 본격적으로 DUR 정보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식약청은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이 설립되면 의약품 안전성 이슈에 대한 선제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수행, 의료현장에서 활용되는 의약품 적정사용정보(DUR) 개발로 의료사고와 구분되는 약화사고 해당여부 등 원인규명을 통한 의약품 부작용 피해 저감화 및 국민 의료비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