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은 최근 수요가 줄고 있는 쌀 소비량을 늘리기 위해 김밥처럼 간편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는 ‘쌀 크레페’ 제조방법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크레페는 얇은 밀가루반죽에 다양한 재료를 넣고 싸먹는 음식으로 간단한 한 끼 식사대용이나 간식으로 이용된다.
‘쌀 크레페’는 기존의 방식대로 크레페 제조 기계를 이용하거나 반죽을 얇게 펴서 전을 만드는 것처럼 간단하게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쌀가루에 타피오카 전분을 5 % 첨가해 식감이 부드럽고 조리특성이 우수하며 제조와 유통도 편리하다.
또한 기존의 밀가루 제품에 비해 강도는 조금 약하나 색이 하얗고 늘어나는 정도가 비슷하며 크레페를 만든 후 냉장 또는 냉동 보관이 가능해 고기나 채소와 함께 언제든지 간편하게 만들어 먹기 좋다.
밀가루 제품과는 달리 우리 입맛에 친숙한 쌀 전분의 찰기가 있어 다양한 요리재료로 이용이 가능하며 소화 불량이나 알레르기 등으로 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밀가루 전병을 대체할 수 있어 쌀가루를 이용한 다른 상품 개발에도 널리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 신소재개발과 남민희 과장은 “국내 벼 품종은 원료곡의 가격경쟁력이 낮고 제한된 가공 특성으로 쌀 가공품 제조에는 극히 제한적이었다”라면서 “최근 급등하는 수입 밀가루를 대체하고 가공 원료곡의 안정적인 공급과 더불어 가격경쟁력 향상을 위해 초다수성 벼 품종의 지속적인 개발과 쌀가루를 이용한 다른 상품개발에도 힘쓰겠다”라고 전했다.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