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밥상에 부는 변화의 바람

  • 등록 2011.09.01 16:46:32
크게보기

빵 소비 감소...스낵 소비 증가

스시.유기농식품 등 고급 식문화 유입

 

□ 폴란드인 식생활 변화 배경

 

 ○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구매력 향상으로 웰빙 식생활 확산

  - 폴란드는 유로 2012 개최를 앞두고 건설 및 인프라 분야(도로, 철도 등)의 활발한 투자 유치 및 대독일 수출 증가로 올해 말까지 4%대의 경제성장률 유지할 전망. 이는 주변국인 독일, 체코, 헝가리 등보다 높은 수준임.

  - 올해 6~7% 수준의 높은 임금상승 전망으로 폴란드 소비자들의 구매력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실제로 지난 5월 소매판매율은 전년 동월 대비 13.8% 증가

  - 생활수준 상승으로 구매력이 향상해 스시, 유기농 식품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는 등 고급 식문화 형성

 

○ 다양한 먹거리 유입으로 식생활 다변화

  - 과거 고기, 감자 위주의 전통식단이 서유럽 문화의 유입으로 피자, 케밥, 햄버거 등 각종 외국산 먹거리로 대체돼 가는 현상이 두드러짐.

  - 유명 패스트푸드 체인들의 폴란드 진출 및 매장 확장이 본격화되고 올해 맥도날드, 서브웨이, 각종 피자 전문점들은 매장 수 확대 계획

  - 패스트 푸드뿐만 아니라 스낵, 아이스크림에 대한 수요도 점차 증가해 제과회사들은 각종 신제품 출시, 특정 연령을 타깃으로 한 제품라인 출시 등을 통해 시장확대 도모

 

□ 식생활 변화 트렌드 I: 빵 소비량 감소

 

 ○ 국립농업 식품연구소(IERiGŻ)에 따르면 폴란드인들의 1인당 연간 빵소비량은 1999년 85.7㎏에서 2010년 56㎏으로 35%가량 급격히 감소했으며, 조만간 50㎏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

 

 

○ 식생활의 변화 및 빵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인 인식이 빵 소비량 감소의 주요 원인

  - 폴란드는 30대 이하 인구가 전체 인구의 48%를 차지하고 있어 새로운 문화의 확산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편이며, 실제로 어린이와 젊은 연령층으로 패스트 푸드, 스낵류 등에 소비 증가추세

  - 국가농업 식품연구소(IERiGŻ) 측은 칩스와 같은 스낵류, 감자튀김 등의 간식거리 및 대체식품 소비 증가, 빵 섭취가 살이 찌는 요인이라는 사회적 인식 확산이 폴란드인의 빵섭취 기피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

  - 아울러 폴란드 내 제과점들이 '품질'이 아닌 ‘가격’ 경쟁을 하며 저품질의 빵을 생산, 소비자들에게 반감을 사 소비가 감소하는 악순환이 반복

  - 최근에는 빵 값의 50%를 차지하는 밀가루, 설탕 등 원재료와 연료 가격이 상승, 빵 가격의 6-12%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

 

□ 식생활 변화 트렌드 II: 유기농 식품, 스시 같은 고급 식문화 확대

 

 ○ 유기농식품에 대한 선호 증가

  - 폴란드인의 유기농식품 구매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 중으로 폴란드 내 대표적인 유기농식품 판매사인 Organic Farma Zdrowia의 CEO인 스워보미르 흐워인은 "향후 3년간 유기농식품 시장규모가 현재보다 2배 정도 확대되며, 현재 폴란드 전체 식품시장의 0.2%를 차지하는 유기농식품 시장점유율이 1.5%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봄.

  - 타 유기농식품 판매사들도 시장이 매년 20~30% 정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유기농식품 시장은 비교적 경기를 타지 않고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기대

  - 실제로 폴란드 연간 1인당 유기농 식품 지출액은 3유로에 불과하며 덴마크는 폴란드 지출액의 66배인 132유로로 나타나 향후 폴란드 유기농식품 성장 가능성은 클 것으로 전망

 


○ 스시 레스토랑 성업

  - 12년 전만 해도 폴란드에는 고작 10여 개의 일본 레스토랑이 있었으나 현재는 400여 곳의 일본레스토랑이 영업 중인 것으로 추산

  - 폴란드인들에게 스시는 익히지 않고 날 것으로 먹는 이색적인 음식이며, 웰빙바람을 타고 건강을 생각해서 먹는 고급음식이라는 이미지가 더해져 그 인기가 높아짐.

  - 최근 일본 레스토랑들의 경쟁 심화로 스시 가격이 하락하면서 스시 보급이 더욱 확대되고, 최근에는 가격 하락으로 프리미엄 음식이면서 동시에 대중적인 중저가 음식으로 발전함.

 


□ 식생활 변화 트렌드 III: 케밥, 피자 등 다양한 먹거리 소비 증가


 ○ 쉽게 조리해서 먹을 수 있는 냉동식품 수요 증가

  - 폴란드에서는 점점 많은 사람들이 냉동식품을 구매하고 있으며, 올해 냉동식품 판매액은 18억 즈워티에 달할 것으로 추산, 냉동식품 소비 증가는 2015년까지 계속될 전망

  - 냉동식품 시장의 성장배경에는 음식 준비에 시간을 덜 들이려는 젊은이들의 증가 등 폴란드인들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가 있음.

  - 2010년 냉동 과일류 제품은 20%, 냉동 야채류는 15%, 냉동 인스턴트 식품은 30%(가장 빠른 성장세)가량 판매율 증가

 


○ 폴란드인의 '국민 스트리트 푸드' 케밥

  - 폴란드인은 케밥이 햄버거 등 다른 패스트푸트보다 건강에 덜 해로우며 영양가가 높은 이색적인 중동 음식이라고 선호

  - 2010년 기준 폴란드 전역의 2만5000여 곳(음식점 3곳 중 한 군데)의 레스토랑, 바 등에서 케밥을 판매하는 것으로 조사됨.

  - 케밥 전문점에는 Piramida, Ramzes, Kleopatra, Kebab pod Psem 등이 있음.

 

 ○ 피자 인기도 계속 상승

  - 2010년 기준 폴란드 내 3000여 개의 피자판매점이 있는데, 2012년까지 3200여 개로 그 수가 증가할 것으로 추산, 상위 프랜차이즈 브랜드로는 Da Grasso(198개), Telepizza(122개), Pizza Hut(57개), Gruby Benek(54개) 등이 있음.

  -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각 프랜차이점은 신메뉴 개발, 빠른 배달, 런치타임 메뉴를 통한 가격할인 등을 통해 고객유치에 힘씀.


□ 식생활 변화 트렌드 IV: 스낵류, 아이스크림 등 간식 소비 증가


 ○ 스낵시장 확대

  - 2011년 폴란드 스낵 시장규모는 6억2750만 유로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2015년에는 7억3430만 유로에 달할 전망

  - 폴란드 스낵시장의 리더인 Frito Lay사(펩시코 자회사) 마케팅 이사 파베우 흐로시치츠키는 폴란드인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로 스낵류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하며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해지면서 점점 더 많은 소비자가 쉽고 빠르게 배를 채울 수 있는 스낵류를 구매하고 있다고 밝힘.

  - Frito Lay사는 최근 10대 소비자뿐만 아니라 성인 소비자들의 스낵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향후 고연령자들을 타깃으로 한 스낵류 출시 계획도 있다고 밝힘.

 


○ 아이스크림 시장 확대

  - 2011년 폴란드 내 아이스크림 판매량은 1억5020만ℓ, 판매액은 14억5000만 즈워티에 달할 것으로 예상

  - 2010년 아이스크림 생산업자들은 작년 초 홍수피해 및 서늘했던 날씨로 커다란 이익을 보지 못했지만 올해는 더위가 일찍 찾아와 폴란드 아이스크림 시장의 선두기업인 Unilever, Koral, Nestle 등은 작년보다 향상된 판매실적을 기대


□ 시사점


 ○ 폴란드인 식생활이 변화하며, 특히 웰빙 트렌드의 하나로 스시에 대한 인기와 함께 동양음식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한식 세계화를 지원하기 위한 지원책 마련 필요.

 

 

<출처: 코트라 바르샤바 KBC>

푸드투데이 이용희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




(주)뉴온미디어 | 발행인/편집인 : 황리현 | 등록번호 : 서울 아 01076 등록일자 : 2009.12.21 서울본사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TEL. 02-2671-0203 FAX. 02-2671-0244 충북본부 : 충북본부 :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TEL.070-7728-7008 영남본부 : 김해시 봉황동 26-6번지 2층 TEL. 055-905-7730 FAX. 055-327-0139 ⓒ 2002 Foodtoday.or.kr. All rights reserved. 이 사이트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 푸드투데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