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820억 달러...세계 9번째 규모
오는 2015년 3481억 달러로 성장 전망
 
□ 러시아 식품시장 개요
 
○ 2000년 이후 급성장한 러시아 식품시장은 2010년 기준 세계 9번째 규모인 1820억 달러로 집계됐음.
- 일 인당 연간 식품소비액은 유럽 평균 수준에 근접한 1200달러로 평가됨.
 
* 모스크바의 일 인당 연간 식품소비액은 4000달러로 타 지역 대비 3배 수준으로 분석됨.
 
                           러시아 식품 시장 규모                         (단위: 1억 달러, 1달러)

                           주 : 1) 2010년 이후는 전망치임.
                           자료원: BMI, 러시아 통계청, WHO
○ 러시아 식품 유통은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음.
| 
 분류  | 
 세부 분류  | 
 내용  | 
 점유율  | 
| 
 재래식 유통시장  | 
 키오스크(kiosks)  | 
 노점상. 한정된 식품군(30종류 이하) 판매  | 
 11.5%  | 
| 
 재래식 유통시장  | 
 노천시장  | 
 일반 노천시장  | 
 13.7%  | 
| 
 현대식 유통시장  | 
 슈퍼마켓(대형마트, 하이퍼마켓 포함)  | 
 400~2500㎡의 매장규모.   | 
 23.3%  | 
| 
 현대식 유통시장  | 
 할인점  | 
 300~900㎡의 매장규모. 1000~1400종류 정도의 상품 구비, 대중적 상품 취급, 가격을 낮게 책정  | 
 14.1%  | 
| 
 현대식 유통시장  | 
 편의점  | 
 300㎡ 규모, 주택가나 주유소에 위치 24시간 영업하며 키오스크(kiosks) 역할을 대체함.  | 
 37.4%  | 
자료원 : Russian Food &Drinks Market Magazine, Euro Monitor, BMI
주 : 1) 점유율은 2010년 기준임.
 
- 하이퍼마켓, 슈퍼마켓, 할인점 등 현대식 유통시장을 통한 식품 유통이 증가 중임.
  
- 대도시를 중심으로 전산화 시스템을 도입한 편의점이 증가함.
러시아 현대식 유통시장 규모(식품) (단위: 억 달러)

                           자료원: BMI
                           주 : 2010년 이후는 전망치임.
     
○ 2009년 경제위기 이후 직거래 상품 구매, 쿠폰을 통한 가격할인 혜택 등을 최대한 활용하는 합리적 소비문화가 활성화됐음.
- 또한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웰빙, 친환경 제품 소비가 증가했음.
2010 러시아 주요 식품기업 현황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 
 기업명  | 
 모기업 소재지  | 
 분류  | 
 판매액  | 
| 
 1  | 
 Baltika(Carlsberg)  | 
 러시아  | 
 음료-맥주  | 
 3,170  | 
| 
 2  | 
 Wimm-Bill-Dann Foods  | 
 러시아  | 
 유제품  | 
 2,372  | 
| 
 3  | 
 PepsiCo  | 
 미국  | 
 음료-맥주  | 
 2,000  | 
| 
 4  | 
 Nestle Russia  | 
 스위스  | 
 음료, 과자 전반  | 
 1,954  | 
| 
 5  | 
 CEDC  | 
 폴란드  | 
 소프트음료  | 
 1,700  | 
| 
 6  | 
 Sun InBev  | 
 러시아/벨기에  | 
 음료-맥주  | 
 1,700  | 
| 
 7  | 
 Coca-Cola  | 
 미국  | 
 음료  | 
 1,500  | 
| 
 8  | 
 Danone-Unimilk  | 
 우크라이나  | 
 유제품  | 
1,500 | 
| 
 9  | 
 Heineken  | 
 네덜란드  | 
 음료-맥주  | 
 1,200  | 
| 
 10  | 
 Cherkizovo  | 
 러시아  | 
 육류생산  | 
 1,022  | 
| 
 11  | 
 Roshen  | 
 우크라이나  | 
 과자  | 
 850  | 
| 
 12  | 
 Kraft  | 
 미국  | 
 음료 과자 전반  | 
 800  | 
| 
 13  | 
 United Confectioners  | 
 러시아  | 
 과자  | 
 800  | 
| 
 14  | 
 Synergy  | 
 러시아  | 
 음료  | 
 485  | 
| 
 15  | 
 Sladko  | 
 러시아  | 
 과자  | 
 150  | 
| 
 16  | 
 Dymov Sausage  | 
 러시아  | 
 육류생산  | 
 150  | 
| 
 17  | 
 United Bakers Group(Kellog's)  | 
 러시아  | 
 Baked 음식  | 
 120  | 
| 
 18  | 
 Russkoye Morye  | 
 러시아  | 
 해산물생산  | 
 50  | 
| 
 19  | 
 Hame(Nordic Partners)  | 
 체코, 아이슬란드  | 
 캔류  | 
 40  | 
     
□ 식품별 시장현황
1) 육류
 
○ 2010년 러시아의 육류 소비량은 850만t으로, 일 인당 육류 소비량은 연 60㎏으로 분석됨.
  
- 2010년 육류 수입 비중은 가금류를 중심으로 0.7%p 증가한 29.4%에 달했음.
 
2) 유제품
○ 2010년 유제품 수입량은 735만t으로 집계됐음.
  
- 유제품 시장의 25%를 우유가 차지하는 가운데 웰빙에 대한 관심 급증은 요구르트 수입량을 전년대비 57% 증가시키는 등 유제품 시장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
                            2010 러시아 유제품시장 주요 기업 점유율

자료원: BMI, Euro Monitor
 
3) 과자
 
○ 2010년 과자류 시장규모는 전년대비 1.6% 성장한 14억 달러임.
  
- 러시아의 일 인당 연간 과자 소비액은 52달러임.
  
- 2005년 이후 연평균 23% 성장한 칩스 등의 스낵류가 전체 과자 판매량의 44.5%, 쿠키, 초콜릿 등의 단과자류가 30.4%를 차지했음.
 
○ Mars(시장점유율 5%), Likonf(3%), Conti-Rus(2%) 등 자국 과자 기업을 중심으로 시장이 활성화된 가운데, Nestle(12%)를 필두로 외국계 기업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는 추세임.
 
○ 인구 100만 이하의 지역의 과자 소비가 급증해 2010년 57%의 과자가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소비됐음.
 
○ 2009년 경제위기는 따라 러시아 내 생산량을 20% 이상 급감시켰음.
  
- 최근 중앙 지구. 시베리아 지구를 중심으로 회복 기미를 보이나 극동지역 생산량은 러시아 전체 과자 생산량의 0.5%에 불과한 상태임.
 
○ 러시아 내에서 가장 활성화된 과자류 사업은 초콜릿으로, 2000년 이후 연평균 19% 성장했음.
  
- 현재 Nestle, Sladko 등 100여 개 이상의 기업이 러시아 현지 초콜릿 생산에 참여했음.
  
- 러시아 내 초콜릿은 계절식품으로써 12~3월 판매량이 6~8월의 1.5배에 이름.
  
- 2010년 러시아 초콜릿 판매량은 태블릿 초콜릿 40%, 선물용 초콜릿 28%, 초콜릿 바 15%, 초콜릿 케이크가 10%로 분석됨.
 
○ Russian Food &Drinks Market Magazine은 최근 러시아 과자 시장 트렌드를 아래와 같이 분석했음.
  
- 유기농 제품 구매 증가: 대도시를 중심으로 웰빙 트렌드가 확산돼 친자연제품, Non-GMO 제품 등의 소비가 급증했음.
  
- 디자인: 초콜릿 등 당과자류를 중심으로 제품 외관 디자인을 고려한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상승
  
- 기술 혁신: 러시아 과자시장이 전반적으로 포화상태에 이름에 따라 첨단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제품이 시장에서 호응을 얻음.
  
- 무설탕 제품: 당류 제품 중 다이어트 기능을 강조한 무설탕 제품 소비량이 급증했음.
 
4) 음료
 
                           2010 러시아 음료시장 제품별 점유율

자료원: BMI, Euro Monitor
     
○ 2010년 맥주, 와인, 보드카를 합친 알코올 소모량은 117억ℓ로 전체 음료시장의 67%(판매액 기준)를 차지했음.
  
- 2000년 이후 대도시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와인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임.
 
○ 2010년 탄산음료 및 주스 판매량은 전년대비 각 18%, 14% 성장했음.
  
- 웰빙제품과 에너지 보충 드링크 등 기능성 제품의 소비가 20대를 중심으로 활성화됐음.
 
                           2010 러시아 주스시장 주요 기업 점유율

자료원 : BMI, Euro Monitor
     
○ 무설탕, 친환경 제품을 중심으로 차와 커피 매출액은 전년대비 11% 증가했음.
 
 러시아 음료시장 규모                                                                                      (단위: 백만 달러)
| 
 2008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
| 
 맥주  | 
 11,191  | 
 10,478  | 
 9,940  | 
 10,129  | 
 10,465  | 
 10,920  | 
 11,456  | 
 12,018  | 
| 
 와인 판매  | 
 7,653  | 
 7,264  | 
 7,927  | 
 9,078  | 
 10,807  | 
 12,532  | 
 14,397  | 
 16,429  | 
| 
 보드카  | 
 12,759  | 
 12,521  | 
 13,880  | 
 15,489  | 
 17,826  | 
 19,902  | 
 21,838  | 
 23,806  | 
| 
 탄산음료  | 
 5,708  | 
 5,746  | 
 6,403  | 
 7,199  | 
 8,430  | 
 9,631  | 
 10,951  | 
 12,417  | 
| 
 주스  | 
 2,349  | 
 2,523  | 
 2,897  | 
 3,446  | 
 4,199  | 
 5,017  | 
 5,903  | 
 6,886  | 
| 
 생수  | 
 2,099  | 
 2,204  | 
 2,488  | 
 2,866  | 
 3,449  | 
 3,955  | 
 4,467  | 
 5,002  | 
| 
 커피  | 
 1,687  | 
 1,352  | 
 1,470  | 
 1,610  | 
 1,827  | 
 1,996  | 
 2,150  | 
 2,301  | 
| 
 차  | 
 2,772  | 
 2,216  | 
 2,412  | 
 2,647  | 
 3,006  | 
 3,287  | 
 3,528  | 
 3,758  | 
| 
 합계  | 
 46,218  | 
 44,304  | 
 47,417  | 
 52,464  | 
 60,009  | 
 67,240  | 
 74,690  | 
 82,617  | 
| 
 성장률  | 
 .  | 
 -4%  | 
 7%  | 
 11%  | 
 14%  | 
 12%  | 
 11%  | 
 11%  | 
주: 2010년 이후는 전망치임.
자료원: BMI
□ 전망 및 시사점
 
○ 러시아 식품시장은 유가 상승에 따른 소비구매력 확대, 중산층 성장 등에 따라 지역시장을 중심으로 연 20% 이상 지속 성장세를 유지해 2015년까지 3481억 달러에 이르는 유럽 최대 시장으로 부상할 전망임.
 
- 2015년 일 인당 연간 식품 소비비용은 2010년 대비 1.98배 성장한 2515달러로 추정됨.
 
○ 웰빙, 친환경 제품에 대한 관심 급증으로 기능성 제품군이 많은 유제품, 음료 등의 소비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인구 100만 이하의 지역에서 소비가 활성화됨에 따라 새로운 유통판로 개척을 통한 시장진출 노력이 필요함.
  
- 특히 극동지역은 자체적인 식품 생산능력이 낮고, 외국계 기업의 진출도가 비교적 낮은 지역으로 한국 식품기업들이 진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됨.
 
- 최종소비자 뿐 아니라 수입상도 수용 가능한 가격을 설정할 것
 
- 지역에서 주최하는 전시회 등에 적극 참여해 바이어를 발굴할 것
- 인터넷 사이트, 정기 간행물 등 다채로운 채널을 통해 제품을 홍보할 것
 
- 안정적이고 체계화된 유통망을 구축할 것 <출처=코트라.블라디보스톡KBC>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