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식품안전청의 식품안전성평가 획득 중요
현지 참살이 열풍으로 소비자 인식 확산 추세
□ 유럽식품안전청
○ EFSA(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로 알려진 유럽 식품 안정청은 90년 후반 광우병을 비롯 소비자의 건강을 위협하는 식품 안전 문제가 급격히 불거지면서 유럽 내 유통되는 식품의 안전성 보장을 위해 EU 법령 178/2002에 근거, 2002년 1월 설립됐으며 이탈리아 파르마에 그 본부가 있음.
○ 이 기관은 EU 집행위, 유럽의회와 EU 각 회원국이 유통되는 식품에 관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EU로 유입되는 식품에 포함된 물질의 잠재적 위험성을 연구, 이에 대한 과학적 컨설팅과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을 전달해주는 역할을 함.
○ 즉, 착색제, 살충제, 유전자변형농산물(GMO), 살모넬라균 등으로 인해 야기되는 소비자 건강 위협문제를 진단, 과학적 평가를 EU 혹은 회원국 정부에 전달, 이들로 하여금 이러한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 유통을 제어하거나 소비자 건강을 진흥할 수 있는 법의 입안 및 그 업데이트를 서포트함.
○ 이 기관의 식품 안전 평가는 엄격한 법적 기준에 의해 행해지는데, 비록 이 기관이 EU 예산의 일부로 운영되지만 EU 집행위와 EU 의회와는 별도로 독립적 의사결정이 가능함.
○ 유럽식품안전청의 평가는 입법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특정식품 안전에 대한 평가 요청은 주로 EU 집행위, EU 의회, 및 EU 개별국가로부터 행해지며 그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음.
EFSA 조직 현황(2011년 1월 5일 현재)
자료원: EFSA
□ 이탈리아 기능식품시장 현황
○ 이탈리아 식품산업은 금속 기계산업 다음 두 번째로 큰 국가 전략·경쟁 산업이며 따라서 시장도 큰 편임.
- 2010년 매출액은 1240억 유로로 전체 산업분야 매출 중 13% 차지함.
- 관련 기업은 3만2300여 개사로 이 중 6500여 개사가 종업원 수 9인 이하의 초소형기업
○ 2010년도 수출액은 210억 유로로 이 중 80%가 브랜드 제품으로 대변되고 있으며 수입은 이보다 작아 170억 유로를 기록함.
- 따라서 관련 산업 40억 유로의 무역수지 흑자를 시현함.
2010년 이탈리아 식품 산업 현황
매출액 |
1240억 유로 |
관련 기업 수 |
3만2300 |
관련 종사자 수 |
41만 |
수출액 |
210억 유로 |
수입액 |
170억 유로 |
무역수지 흑자 |
40억 유로 |
자료원: Federalimentare
○ 이탈리아에서 기능성 건강식품은 해당 식품이 포함하는 특정 영양소가 독립적으로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식품군을 일컬으며 식품강장제, 다이어트식품, 강화식품도 넓은 의미에서 포함.
- 현지에서 유통되는 기능성 건강식품으로는 콩으로 만든 각종 식품류(두유, 아이스크림, 햄버거 등), 에너지 음료, 알로에 주스, 각종 다이어트성 식품 등이 있음.
현지 유통 기능성 건강식품
제품 이미지 |
제품 설명 |
|
심장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오메가 3 성분 및 보리, 귀리의 섬유질을 성분요소를 빵에 담아 제작한 제품 인기 |
|
100% 식물성 콩으로 육류를 대체해 소시지, 햄버거, 완자 등의 유사제품을 생산, 채식주의자들에게 인기 |
|
스포츠, 기력 급강하 시 단백질 및 에너지를 보충해줄 수 있는 음료로 호평 |
|
크롬, 요오드, 파인애플, 푸쿠스속 해초 성분 함유 다이어트 식품으로 체중 조절에 탁월한 효과로 인기 |
○ 기능성 건강식품은 현지에서 불고 있는 웰빙과 바른 라이프스타일 실현 열풍에 따라 관련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높아지고 대형 유통 코너나 약국을 중심으로 소비가 확산됨.
○ 2010년 현지 기능식품시장은 약 30억 유로 규모를 기록했으며 관련 기업 수는 약 80개사가 활동 중임.
○ 관련시장은 소비자의 건강과 안전, 제품의 품질에 크게 주의를 하고 있기에 유럽식품안전청의 유해 물질 평가 및 이어지는 관련 법령 도입에 매우 민감한 편임.
□ 관련 법령
○ 유럽연합은 2002년 비타민과 무기화합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에 대한 유럽 내 유통에 관한 엄격한 규정을 담은 법령 2002/46을 제정함.
- 참고 사이트: http://www.laleva.cc/supplements/OJ_Eudirective_supplements.pdf
○ 이 규정에 의하면 법령에 언급되지 않은 비타민과 무기화합물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에 대한 유럽 내 유통을 금지하고 있는데, 금지 비타민 및 무기화합물의 종류는 300여 종임.
- 참고 사이트: http://www.laleva.cc/supplements/forgotten_substances.htm
○ 이탈리아도 EU의 지침을 수용, 엄격한 국내법으로 제정하기에 이르렀고 보건부 가이드라인에서 비타민, 무기화합물, 기타 물질의 허용범위를 지정함.
□ 수입 및 유통업체
○ 이탈리아에서 식품수입 및 유통업체는 주로 대기업이 많은 북유럽과는 달리 중소기업이 대부분임. 따라서 북유럽의 대량 물량 수입에 비해 비교적 다품종 소량 수입이 많음.
○ 대부분의 수입 식품류는 브로커나 전문화된 에이전트를 통해 이탈리아 시장으로 유입됨.
○ 가격요소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물론 품질과 현지 시장에서의 참신성도 수입 우선 결정의 주요 요소로 작용함.
○ 자체 내에서 직접적으로 구매 결정 및 실행하는 현지 주요 유통 그룹은 다음과 같음.
- Centrale Italiana ( Coop, Despar, Sigma, Il Gigante)
- Centrale CONAD (Conad, Stand-Rewe, Interdis)
- Esd Italia (SElex, Esselunga, Agora')
- Gruppo Carrefour (Carrefour, Finiper)
- Sisa-Coralis ( Sisa, Coralis)
- Auchan/Intermedia (Bennet, Pam, Crai, Lombardini, Auchan)
- C3
- Lidl
- Eurospin
□ 관련 협회 및 전시회
○ 현지 기능 식품 기업이 모여 만든 관련 협회로는 FEDERSALUS가 있으며, 이 협회는 관련 시장 연구 및 조사, 입법·행정기관 대상 홍보·로비활동, 회원사에 정보제공 등의 활동을 활발히 전개함. 유럽건강식품협회인 EHPM과 세계건강기능 식품협회인 IADSA에도 등록, 세계 기능 식품산업과도 긴밀히 연대 중임.
- 협회명 : FEDERSALUS
- 주소: Piazzale Don Luigi Sturzo, 9 00144 Roma, Italy
- 전화/팩스: +39 06 54221967/+39 06 54283278
- 이메일: federsalus@federsalus.it
- 홈페이지: www.federsalus.it
○ 식품관련 전시회 중 건강기능식품으로 특화된 전시회는 중부 볼로냐에서 열리는 SANA로 매년 9월경 개최됨.
- 전시회명: SANA
- 주최: Bologna Fiere SpA
- 개최일자:2011. 9. 8. ~ 9. 11.
- 홈페이지: www.sana.it
- 문의: sana@bolognafiere.it
<출처=코트라.밀라노K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