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공동심포지엄서 주장
행정기관의 식품 관련 업무는 전문 인력이 담당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동국대 이광근(식품공학부) 교수는 25일 전북도청에서 열린 '국가 식품클러스터의 R&D 기반강화를 위한 한일 공동심포지엄'에서 "최근 식품 안전 및 분석 등의 인력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행정기관의 고용시스템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이날 '식품관련 자격 인증자 고용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이란 주제 발표에서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는 여전히 농업직과 화공직, 환경보건직이 식품 관련 업무를 맡고 있으며 대부분 행정기관은 식품 관련 5급 및 7급 공무원의 직제도 편성되지 않았다"면서 "업무의 정확성을 위해서는 식품 전문인력이 이를 담당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산업인력공단이 시행하는 식품기사 시험의 2001-2006년 합격률이 매년 10%대를 넘지 못해 갈수록 비중이 커지는 식품산업 관련 인력 양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행정기관과 대기업은 다른 시험에 비해 어려운 식품기사 자격증 소지자에게 다른 자격증보다 많은 가산점을 줘야 한다"면서 식품기사 자격증의 세분화와 식품분석기사 자격증의 신설 등을 주장했다.
목포대 박양근(식품공학과) 교수도 '국가 조직 내 식품공학 전공자의 진출 확대를 위한 방안과 선결조건'이란 발표문에서 "아직도 많은 행정기관이 농업연구사나 농업지도사 등 식품과 다른 분야의 전공자를 채용해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면서 "식품 관련 직렬과 직류, 연구사의 신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푸드투데이 장은영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