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수산식품부는 26일 전북 익산시에 동북아 식품산업의 허브(hub)로 키울 '국가 식품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이날 국가식품클러스터 입지선정위원회를 열고 익산시 왕궁면 일원 400㏊ 부지를 국가 식품 클러스터 입지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해 말 전북과 전남, 충남, 충북, 경북 등 5개 도 가운데 전북을 국가 식품 클러스터 후보지로 정했고 이어 전북의 14개 시.군을 상대로 유치 신청을 받아 최종 대상지를 선정했다.
박삼옥 입지선정위원장(서울대 교수)은 "익산은 대학이 소재한 데다 혁신도시와의 접근성이 높아 연구인력 유치 가능성, 교통 인프라의 편리성, 자치단체의 추진 의지 등에서 좋은 점수를 얻었다"고 말했다.
◇ 국가 식품 클러스터는 한국판 '푸드밸리'
국가 식품 클러스터는 꾸준히 성장하는 세계 식품 시장에서 한국이 동북아의 식품 허브가 되겠다는 구상에서 출발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2004년 기준 세계 식품 시장 규모는 약 4조달러로 자동차 시장(1조6000억달러)이나 정보기술(IT) 시장(2조8000억달러)보다 크다.
정부가 벤치마킹 대상으로 삼은 것은 세계적 식품산업 단지인 네덜란드의 '푸드밸리(Food Valley)'와 덴마크 동부-스웨덴 서부의 '외레순 클러스터'. 푸드밸리의 경우 2006년 연간 매출이 470억유로에 달했다.
그러나 국내 식품기업은 규모도 영세하고 연구.개발(R&D) 투자가 부족해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국가 식품 클러스터는 국가가 전략적으로 식품 분야의 R&D 투자를 확대하는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세계 식품 시장의 중심은 앞으로 아시아-태평양 쪽으로 이동할 것"이라며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전통적으로 중국, 일본이 농식품과 수산물 수출의 최대 시장이었던 데다 앞으로 중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에 따라 수출 기회가 늘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동북아 시장을 겨냥해 국산 농수산물을 사용한 틈새시장 공략에 나서고 가공무역을 늘리면 식품 허브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 어떻게 추진되나
국가 식품 클러스터 조성사업은 내년부터 2015년까지 총 사업비 1조원을 투입해 식품 전문단지를 조성한 뒤 국내외 식품기업, 민간 연구소, 연관기업 등을 유치해 동북아 식품 허브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식품 산업을 고부가가치화하고 농어업의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하자는 취지에서다.
농식품부는 이 단지에 100여개 이상의 국내외 식품기업, 10개 이상의 민간 연구소를 유치하고 활발한 네트워킹을 통해 2015년에는 식품제조업 총 매출액(180조원으로 추정)의 약 15%를 국가 식품 클러스터가 담당하게 한다는 구상이다. 2010년에 착공, 2012년 완공이 목표다. 단지 기반이 조성되는 2011년부터 단계적으로 기업에 분양할 계획이다.
정부는 단지 안에 식품 연구.개발(R&D)센터, 식품 전(前) 처리시설, 공동 집배송 시설, 창업보육센터 등 입주기업 지원을 위한 시설들을 지어준다.
또 지역 식품산업과 해외 식품 클러스터, 대학.연구소 등과의 네트워킹, R&D 자금 지원, 수출 지원 등 여러 정책적 지원도 병행된다.
투자 재원 1조68억원 가운데 5600억원가량은 민자 유치를 통해 조달하고 3446억원은 국비로, 나머지는 지방비로 충당할 계획이다.
이 경우 사업이 궤도에 오르는 2015년이면 총 생산유발효과가 9조9000억원, 고용유발효과가 4만8000명에 달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또 1단계 개발의 진척도와 국내외 기업들의 투자 수요를 봐가며 660㏊ 규모의 농업 생산단지와 식품가공 무역단지 같은 특성화단지를 추가로 조성할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2단계 사업의 추진 시기와 입지는 결정되지 않았다"며 "다만 2단계가 추진된다면 앞으로 새만금 간척지 등에 조성될 대규모 농업회사 등도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푸드투데이 장은영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