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유기농 고구마 재배
친환경 해남고구마는 일반 표준 고구마재배법에 친환경농법으로 고구마를 재배하기 위한 기술적 요소를 더한 것이다.
첫째, 겨울철 농한기에 녹비작물을 재배해 땅심을 높이고 토양환경개선과 비료사용을 절감하여 토양오염을 줄였다.
둘째, 농업기술센터는 우량품종 15종을 확보해 조직배양실에서 매년 무병 줄기묘 20만본을 생산·보급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을 없애고 일반 고구마에 비해 30%정도의 생산량이 증대하는 효과를 보고 있다.
셋째, 한 토양에서 한가지 작물을 계속해서 재배하다 보면 지력이 저하되고 작물에 필요한 영양이 고갈돼 상품성 저하 및 덩굴쪼김병 등의 각종 병이 발생한다.
이에 해남군은 양질의 황토를 객토 또는 환토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각종 고구마 병해를 예방하고 있다.
해남의 황토에는 칼륨과 칼슘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고 특히 황토의 중요한 기능성 성분인 게르마늄(Ge)의 함량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고구마 생산현황을 보면 전남지방이 압도적이며, 특히 해남군은 전국 생산량의 12%, 전남지역의 51.7%를 차지하고 있어 국내 최대 고구마 주산지라 할 수 있다.
해남의 ‘황토고구마’는 현재 총 1867㏊를 재배하고 있는데 친환경 인증면적은 1087㏊로 저농약 1032㏊, 무농약 32㏊, 유기농 23㏊를 재배하고 있다.
해남군은 또한 친환경 황토명품 고구마 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저농약에서 무농약 이상 고구마로 상향 친환경 인증토록 현장지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해남군 ‘황토고구마’는 맛도 일품, 영양도 일품, 건강에도 일품인 명품고구마라 단연 말할 수 있다.
항암효과 등 탁월 건강 지킴이
뿌리·줄기·잎 등 버릴 것 하나 없는 고구마는 우리나라 대표 영양 간식으로 손꼽히는 식품이다.
최근 미국의 식품 영양운동단체인 공익과학센터(CSPI)는 ‘최고의 음식10’에 울퉁불퉁 제멋대로 생긴 고구마를 1순위에 올려놨고, 과학센터의 제인 박사는 “건강과 영양을 생각한다면 주저없이 고구마를 선택하라”고 권고했을 정도이다.
고구마에는 탄수화물, 조섬유, 칼슘, 칼륨, 인, 비타민 A의 전구체인 베타카로틴과 비타민 C 등이 들어있어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중의 하나이다.
몇몇 암, 특히 폐암에 대한 연구에서 고구마는 폐암을 잘 예방하는 삼대 적황색 채소(고구마, 호박, 당근)중의 하나로 뽑혔다.
고구마의 성분 중 항암작용을 나타내는 성분은 항산화 비타민인 베타카로틴, 강한 항산화작용을 나타내는 폴리페놀계 화합물인 클로로겐산, 동물의 암발생 및 병원바이러스를 억제하는 프로테아제 억제물질 등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런 성분들과 다른 고구마의 성분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항암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항산화작용도 한다. 생체내에서 과산화반응에 의해서 과산화물이 몸에 쌓이게 되어 여러 가지 질병고 암, 노화의 원이 되는데 항산화 비타민(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이나 기타 항산화 물질 등이 이런 과산화반응을 못하도록 막는 것을 항산화작용이라고 한다.
고구마에는 섬유질 뿐만아니라 수지배당체인 하얀 수지성분(고구마를 자르면 하얗게 나오는 진)이 배변을 도와주므로 변비 예방 및 치료에 매우 효과적인데 껍질채 고구마를 찌거나 삶아서 먹으면 탈도 나지 않는다. 고구마는 배변을 좋게 하기 때문에 피부가 좋아지게 하기도 한다.
고구마는 또한 칼륨이 매우 많이 들어 있는 야채중에 하나인데 긴장이나 스트레스, 무기력증 등에 좋은 음식이며 칼륨의 나트륨을 배설시키는 효과로 혈압강하 작용이 있어 고구마를 김치 등과 같이 먹는 것은 매우 합리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고구마 전분에는 몸안에서 소화 흡수되기 어려운 ‘헤미셀룰로오스’라는 고급 섬유질이 많이 들어 있는데 이는 지방간의 형성을 막아 간경변의 위험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색고구마가 함유하고 있는 색소는 수용성 안토시아닌으로 항산화력, 간보호기능 등의 기능성이 있어 식품첨가용 자연건강식품이나 가공식품 신소재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섬유염료로도 이용 가능하다.
최근 자색고구마로 만든 자색고구마가루, 즙이나 음료 등이 나오고 있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푸드투데이 장은영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