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락할 대로 폭락한 제주 감귤 가격을 끌어올리기 위해 '작은 감귤(소과)' 폐기에 농협과 제주감귤협의회가 사활을 걸었다.
농협 제주지역본부와 제주감귤협의회는 도내 20개 조합장과 시지부장 등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비상대책회의를 갖고 1번과 이하의 소과를 전량 폐기하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지난 연말 전국 주요 도매시장에서 거래된 노지감귤이 10㎏들이 상자당 평균 5100원까지 떨어져 심리적 마지노선이 붕괴됐기 때문이다.
또 소비가 부진한데도 지난해 12월 초부터 도매시장의 경매 반입량이 계속 증가해 일부 시장의 중.도매인들이 감귤 재고가 쌓여 경매를 기피하거나 경매사들이 강제경매를 유도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처럼 감귤 가격이 계속해서 폭락하고 경매 기피 현상까지 나오는 것은 감귤유통명령제 시행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지방도매시장이나 유사도매시장에서 1번과 이하의 비상품 감귤이 버젓이 유통되면서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농협 제주지역본부와 제주감귤협의회는 이에 따라 1번과 이하의 작은 감귤 유통을 모든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원천봉쇄키로 결의하고 380곳의 직영 선과장과 작목반선과장에서는 1번과 이하 감귤을 전량 폐기하는 조건으로 선과하기로 했다.
특히 일반 상인들이 운영하는 250여곳의 선과장에 대해서는 그동안 자율적으로 1번과 이하 감귤을 폐기하도록 유도해 왔지만 앞으로는 제주시와 서귀포시에서 일정 주기로 각 선과장에 차량과 인력을 보내 1번과 이하 소과를 직접 수거해 폐기하고 비상품 감귤 단속활동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제주도와 감귤유통명령추진단에서는 서귀포시에는 인력 25명을, 제주시에는 차량 5대와 10명을 각각 추가로 지원한다.
제주감귤협의회 강희철 회장은 "감귤유통명령제를 위반한 사례의 90%가 비상품 감귤 유통"이라며 "현재 총 생산량의 절반 정도 남아 있는 노지감귤의 가격을 회복하려면 6만8천여t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 1번과 이하의 비상품 감귤이 유통되지 않도록 막는 게 최대의 관건"이라고 말했다.
푸드투데이 장은영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