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열전1]창사 이래 처음으로 4조 클럽 입성...이창엽 롯데웰푸드 대표

  • 등록 2025.07.04 18:23:59
크게보기

세계 1위 인구 인도 시장서 롯데 ‘ONE INDIA’...2032년까지 ‘연 매출 1조원’ 목표
무설탕·당류 브랜드 '제로(ZERO)'를 앞세우며 제과 사업 다각화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롯데웰푸드가 인도 자회사 ‘롯데 인디아(LOTTE India)’와 ‘하브모어(Havmor Ice Cream)’의 합병 절차를 완료하는 등 외형 뿐 아니라 내형도 확장중이다. 그리고 이러한 프로젝트의 중심에는 이창엽 대표가 있다.

 

1967년생인 이 대표는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 회계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MBA과정을 마쳤다. 해외 기업들에 재직하면서 경험을 쌓고 국내로 들어온 그는 해태제과에서 마케팅본부장으로 재직 후 2005년 농심켈로그 대표이사 사장에 선임됐다.

 

한국코카콜라의 대표이사를 지내고 LG생활건강로 옮겨 뉴에이본법인장과 사업본부장(COO)을 맡았다. 2022년 롯데그룹 정기 임원 인사를 통해 이창엽 대표는 지난해 헬스&웰니스(H&W) 사업과 해외 전략을 통해 내실을 다지면서 연임에 성공했다.

 

올 상반기 최대 프로젝트로 꼽히는 이번 통합법인 출범은 세계 1위 인구 대국인 인도 시장에서 롯데 ‘ONE INDIA’ 전략을 본격화하는 시발점이 될 전망이다. 롯데웰푸드는 이번 합병을 기점으로 경영 효율성을 제고하고, 두 회사 간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다. 이를 바탕으로 롯데 인디아는 2032년까지 ‘연 매출 1조 원’을 목표로 한다.

기회의 땅 인도에서 1위 시장 굳히기
기존 롯데 인디아는 남부 첸나이와 북부 하리아나를, 하브모어는 서부 구자라트를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했다. 이번 통합으로 북부, 남부, 서부를 아우르는 지역 커버리지를 보유하게 된다. 물류 및 생산 거점 통합으로 운영 효율화도 기대된다.

 

생산력 확대 및 롯데 브랜드 도입을 위한 적극적인 대규모 투자도 진행하고 있다. 700억 원을 투자한 푸네 빙과 신공장이 지난 2월 본격 가동에 돌입하며 인도 빙과 성수기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렸다. 푸네 신공장을 통해 인도 시장에 선보인 ‘돼지바(현지명 Krunch)’는 출시 3개월만에 누적 판매량 100만개를 달성하는 등 K-아이스크림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Krunch바는 80ml 용량에 60루피(한화 약 1,000원)로 현지 일반적인 아이스바 판매가격이 20~30루피 수준임을 감안할 때 2배에서 3배 가량 비싼 프리미엄 제품이지만, 출시 3개월 만에 6000만 루피(한화 약 1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이는 과거 출시한 월드콘보다 약 6배 이상 높은 수치로, 프리미엄 시장에서 성공적인 첫 발을 내디뎠다는 평가다.

 

약 330억 원이 투입된 하리아나 공장의 ‘빼빼로’ 첫 해외 생산 기지 구축도 올해 하반기 가동을 목표로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롯데 인디아는 푸네 신공장 가동 및 빼빼로 신규 도입을 통해 올해 15%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 1분기의 인도 지역 매출은 8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4% 성장했다. 지난해 총매출은 2,905억 원이었다.

건강은 지키고 맛은 그대로...세계인 홀린 제로 시리즈의 유혹
특히, 이 대표는 부임 첫해 4조664억원의 매출을 일궈내며 통합된 롯데웰푸드를 '4조 클럽'에 입성시켰다. 무설탕·당류 브랜드 '제로(ZERO)'를 앞세우며 과자, 아이스크림, 요거트 등 제품 구분 없이 20여 종에 가까운 제로 라인업을 빠르게 다각화했다. 최근에는 국내 최초로 당류 없는 초코파이 출시하기도 했다. 제로 브랜드는 지난해 400억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기록했다. 빼빼로는 지난해 701억원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23년 수출액(540억)과 비교하면 30% 성장한 수치로, 이를 수량으로 환산하면 1억개가 넘는 숫자다.

최근에는 뉴욕 자비츠 센터(Javits Center)에서 열리는 ‘2025 서머 팬시 푸드쇼(2025 Summer Fancy Food Show)’에 참가해 롯데웰푸드의 핵심 브랜드 홍보에 나섰다. 팬시 푸드쇼는 미국 스페셜티 푸드협회(SFA) 주최로 1952년부터 시작된 북미 최대규모의 B2B 식품 박람회다. 매년 여름과 겨울에 미국 동부와 서부를 번갈아가며 개최되는 식품박람회다. 매년 여름과 겨울에 미국 동·서부를 오가며 개최되며, 2024년에는 전 세계 2,600여 개 기업이 참가해 20만여 종의 식품을 선보였고 4.6만 명이 방문했다.

 

롯데웰푸드는 이번 박람회에서 글로벌 브랜드로 육성 중인 ‘빼빼로’ 등 주요 브랜드 7종을 전시했다. 파우치 형 아이스크림인 ‘설레임’, 떡과 아이스크림 그리고 달콤한 팥앙금이 조화를 이루는 ‘국화빵’, 100% 식물성 디저트인 ‘조이’ 등을 통해 K아이스크림의 우수성을 알렸다. 또한 ‘자일리톨’, ‘졸음번쩍껌’을 통해 롯데웰푸드 브랜드의 독창성을 강조했다. 특히, ‘ZERO’ 브랜드는 해외에서 반응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쌀로별’ 브랜드를 통해 K스낵의 우수성을 알렸다.


건과에서 빙과까지...식물성 식단으로 해외매출 공략
또, 식물성 디저트 브랜드 ‘조이(Joee)’가 스낵 ‘베지 5(VEGGIE 5)’와 아이스바 ‘크리미바’를 새롭게 선보였다. 건과에서 빙과까지 제품 영역을 확대함으로써 식물성 식단을 지향하는 소비자들에게 맛과 건강, 윤리적 가치를 아우르는 선택지를 제공한다는 복안이다.‘크리미바’는 ▲망고 크림 ▲그레인 크럼블 ▲헤이즐넛 카카오 세 가지 맛으로 구성된 100% 식물성 아이스바다. 과일 퓨레, 견과류 페이스트, 곡물 분말 등 식물성 원료만을 사용해 일반 아이스크림과 같은 부드러운 질감을 구현했다. 이에 비건 인구는 물론 유당불내증을 가진 소비자와 일상 속에서 건강한 간식을 찾는 소비자들도 안심하고 즐길 수 있다.

 

베지 5는 ▲발사믹허브맛 ▲바질솔트맛 두 가지로 출시됐다. 채소의 풍미를 끌어올려주는 허브 시즈닝으로 풍부한 맛을 선사하며, 토마토, 단호박, 시금치 등으로 구현한 다채로운 색감이 시각적인 즐거움을 더한다.

 

함께 선보이는 ‘크리미바’는 ▲망고 크림 ▲그레인 크럼블 ▲헤이즐넛 카카오 세 가지 맛으로 구성된 100% 식물성 아이스바다. 과일 퓨레, 견과류 페이스트, 곡물 분말 등 식물성 원료만을 사용해 일반 아이스크림과 같은 부드러운 질감을 구현했다. 이에 비건 인구는 물론 유당불내증을 가진 소비자와 일상 속에서 건강한 간식을 찾는 소비자들도 안심하고 즐길 수 있다.

 

롯데웰푸드는 크리미바의 해외 수출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현재 베트남, 호주에서 판매를 시작했으며, 향후 비건 최대 시장인 미주 지역과 유럽 권역으로의 진출도 검토 중이다. 특히 유럽은 수입 유제품에 대해 비관세 장벽이 높아 일반적으로 아이스크림 수출이 어려운 지역이지만, 조이 크리미바는 식물성 원료만을 사용해 여러 국가로의 진출 가능성이 높다.

 

국내사업은 내실을 다지고 해외사업을 선방한 이창엽 대표는 2025년 어떤 성적표를 받게될까.

푸드투데이 조성윤 기자 w7436064@naver.com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




(주)뉴온미디어 | 발행인/편집인 : 황리현 | 등록번호 : 서울 아 01076 등록일자 : 2009.12.21 서울본사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TEL. 02-2671-0203 FAX. 02-2671-0244 충북본부 : 충북본부 :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TEL.070-7728-7008 영남본부 : 김해시 봉황동 26-6번지 2층 TEL. 055-905-7730 FAX. 055-327-0139 ⓒ 2002 Foodtoday.or.kr. All rights reserved. 이 사이트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 푸드투데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