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중점적으로 확대·추진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효율적인 운영·관리를 위해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를 이달 중으로 설치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8일 밝혔다.
또한 급식 아동수가 20명이하인 소규모 가정 어린이집에 대한 위생 및 영양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을 의무화하는 제도 개선도 추진할 예정이다.
안전한 어린이 급식관리를 위한 2016년 주요 추진 정책 내용은 ▲안전관리 상향 평준화 ▲급식소 및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지원체계 점검 ▲어린이 급식안전 수혜율 제고 ▲사각지대 없는 촘촘한 급식관리 등이다.
표준화된 정보 공유 체계 마련을 위해 표준 레시피, 공동 교육 교재·교구 등을 개발하고 전국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를 효율적으로 관리·지원하는 중앙급식관리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한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직원 역량강화를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설 운영하고, 급식소 지원 수준 향상을 위한 벤치마킹 프로그램을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급식소 및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의 지원체계 점검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자체와 합동으로 지도·점검을 실시하고 보건복지부, 교육부와도 협업을 강화할 예정이다.
어린이 급식소를 위생·영양 수준별로 구분하여 순회방문 횟수를 차등 지원(6~9회) 하고 가정 어린이집 등에 적합한 맞춤형 식단, 식재료 품질관리 기준 및 급식관리 매뉴얼을 배포해 지도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 특성을 반영해 인근 시·군·구의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들을 통합하거나 제주도 등 독립된 지역은 설치·운영 예산 규모를 11~16억 수준으로 확대하는 등 설치기준을 개선할 예정이다.
가정 어린이집(20명이하)부터 단계적으로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을 의무화하기 위해 관련 법령 개정도 추진한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미등록 어린이집의 급식도 관리하기 위해 ‘육아종합지원센터’와 ‘지역아동센터’등에 영양균형 등을 고려한 전문적인 식단 및 레시피를 제공할 예정이다.
어린이와 부모 대상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가정에서도 활용 가능한 위생·영양관리 정보집 등을 제작해 배포할 계획이며 식단 작성, 영양소 데이터베이스 관리, 위생안전 점검 등을 급식소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식단관리 앱 등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할 예정이다.
식약처는 전국 210만명 어린이 모두 안전한 급식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관련부처와 협업을 강화할 계획이라며 센터 설치‧확대를 위한 예산 반영 등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조와 지원도 당부했다.
한편,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는 2011년 설치된 이후 2012년 22개소에 불과하던 것이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2015년 191개소로 대폭 확대 설치돼 100명 미만 어린이집·유치원 등 급식소에 대한 체계적인 위생·영양 안전관리를 해오고 있다.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확대로 인해 혜택을 받는 어린이 수는 2012년 12만명에서 2015년 71만명으로 6배로 증가해 100명 미만 어린이집·유치원에 다니는 어린이의 절반이 수혜를 받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