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산업 경쟁력으로 승부한다”
경남농업기술원, 거베라 장미 등 신품종 개발 한창
경상남도농업기술원은 최근 국내 화훼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신품종 육성 등 육종연구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월 우리나라도 국제신품종보호연맹(UPOV)협약에 가입함으로써 신품종 사용에 관한 로열티지불 문제가 대두되고 있고, 특히 앞으로 중국산 화훼류가 국내 화훼산업에 미치게 될 영향 등을 감안한 것.
농업기술원은 이에 앞서 지난 2001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거베라 14품종과 장미 7품종 등 모두 21종의 신품종에 대해 품종등록을 모두 마쳐, 도내 화훼산업 활성화는 물론, 로열티 지불 경감에 따른 농가 수익증대효과도 가져오는 등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농업기술원은 한편 국내시장과 일본수출시장 등 다양한 소비처를 확보하고 있는 국화의 종묘가 대부분 외국으로부터 도입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할 때 국화 신품종 육성도 시급한 것으로 판단하고, 지난해부터 국화 신품종 육성에 대한 연구도 강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우수품종 선발을 위한 품종수집과정과 교배조합 작성 등 잠재적 성과를 보이고 있는 국화 신품종 육성 연구는 병해충 저항성을 높이는 연구도 병행 추진하고 있어 앞으로 외국산 품종 사용에 따른 로열티 지불경감과 국화 상품성 향상 등 국화재배농가 경쟁력 향상에 도움을 주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 도내 국화재배면적은 약 190ha로, 대부분이 외국품종으로 알려진 이들 국화의 로열티를 본당 10원 기준으로 지불한다고 해도 연간 17억원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예상되므로 우리나라의 UPOV협약 가입 이후의 화훼품종 국산화는 더욱 절실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푸드투데이 장세화 기자
tomato@fenews.co.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