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2025년 1분기 수입식품 규모가 전년 대비 3.5% 증가한 86억 달러를 기록한 가운데, 요거트·땅콩버터 등 온라인 유행 식품이 수입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른 수입 다변화에 대응해, 수입식품에 대한 안전 검사와 관리 체계를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2025년 1분기 국내로 수입된 식품은 총 20만 3천여 건, 86억 6천만 달러, 470만 7천 톤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수입건수는 2.9%, 수입금액은 3.5% 증가했다고 23일 밝혔다.
수입식품은 미국, 중국, 호주 등 총 150개국에서 들여왔으며, 이들 3개국에서만 전체 수입량의 58.5%에 해당하는 275만 톤이 수입됐다. 주요 수입 품목군은 가공식품(29.6%), 축산물(24.8%), 농·임산물(19.7%), 수산물(11.9%), 기구·용기·포장(7.8%), 식품첨가물(3.6%), 건강기능식품(2.8%) 순이었다.
올해 1분기 수입식품 동향은 사회 현상, 온라인 소비 트렌드, 산업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 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온라인 플랫폼에서 유행한 식품 관련 콘텐츠의 영향으로 일부 품목의 수입이 급증했다. ‘요거트 아이스크림’ 유행과 함께 벌집꿀 수입은 1,500달러에서 38만 5천 달러로 약 25,885% 증가했다. ‘땅콩버터 다이어트’ 열풍으로 땅콩버터는 101.7%, 땅콩 등 견과류는 38.1% 수입 증가를 보였다. ‘쫀득쿠키’ 유행에 따라 마시멜로 수입도 44.3% 늘었다.
한편, 경기 침체와 1인 가구 증가 등으로 경제성과 간편함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확대되며, 즉석조리식품(114.5%), 고등어 필렛(64.9%)의 수입도 크게 증가했다. 유가공품도 전지분유(300.0%), 치즈(71.2%), 버터(61.6%) 순으로 수입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제 곡물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밀과 옥수수는 각각 22.7%, 6.7% 감소해 전체 농·임산물 수입량은 4.9% 줄었다. 이에 비해 양파, 배추, 감귤 등 신선 농산물은 국내 생산량 감소와 물가 안정 목적의 할당관세 적용 등으로 13.5% 증가했다.
식약처는 “수입식품의 증가와 다변화에 대응해 검사와 관리 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국민이 안심하고 수입식품을 소비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2025년 수입식품 통계는 식약처 ‘수입식품정보마루’ 누리집(https://impfood.mfd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