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산업개발 지분참여, 경영정상화 전망
![]() | 라면의 원조 삼양식품(주)이 부활 조짐을 보이고 있다. 매출이 급신장하고 있는데다가 옛 대주주가 경영권을 완전히 되찾는 등 재기를 위한 굳건한 발판을 마련해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1961년에 창업한 삼양식품(대표 서정호.사진)은 1989년 이른바 ‘공업용 우지파동’이 발생할 때까지만 해도 라면시장 점유율 60%를 차지하며 ‘라면왕국’으로 불릴 정도로 우리나라 라면업계의 선두업체였다. 8년간의 법정투쟁 끝에 ‘우지파동’은 무죄판결을 받았지만 ‘왕좌’를 후발 농심라면에 내주고 시장점유율은 한때 10%선까지 떨어지는 등 최악의 상황으 |
그러던 삼양식품이 지난 2003년부터 되살아나기 시작했다. 그동안의 뼈를 깎는 구조조정으로 올 상반기 중에는 화의에서 벗어날 전망이다. 누적된 빚을 갚느라 엄두도 내지 못했던 마케팅을 재개하면서 매출도 급신장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에는 전년대비 20.4% 증가한 2,740억원의 매출과 200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하는 등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삼양식품은 올해도 진취적이고 공격적인 경영을 전개해 매출 3,300억원, 영업이익 25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간판 브랜드인 ‘삼양라면’과 ‘수타면’의 마케팅 강화로 시장경쟁력을 높여 빼앗긴 시장을 탈환하겠다는 야심을 숨기지 않고 있다. 최근 옛 대주주가 채권단이 가지고 있던 회사 주식 205만주(32.8%)를 다시 사들여 44.8%의 지분을 확보해 최대주주의 자리를 회복하는 등 경영기반도 달라지고 있어 삼양식품의 이같은 야심은 공허한 외침이 아닌 듯 보인다. 특히 이번 지분확보 과정에 삼양식품 오너 일가와 오랜 친분관계에 있는 현대산업개발(명예회장 정세영, 회장 정몽규)이 우호지분으로 참여함으로써 삼양식품의 부활에 큰 힘이 되고 있는 것도 주목할만하다. 삼양식품의 부활을 위한 일련의 움직임에 대해 회사 관계자는 “소비자의 신뢰를 점차 되찾고 있어 ‘라면왕국’의 재건은 이미 시작됐다”고 의미 있는 말을 던졌다. | ![]() |
배민경 기자/tomato@fe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