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까지 도내 전 지역을 먹을거리 청정특구화 하겠다."
김문수 경기지사가 지난해 7월 시장.군수 민생안전대책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한 말이다.
김 지사는 "앞으로 농산물 검사시스템을 무기한.무제한.무차별로 강화해 부정.불량식품을 추방하겠다"고도 했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먹을거리 안전관리단'을 설치, 운영하고 전문수사교육까지 받은 '도 특별사법경찰대'를 먹을거리 단속활동에 집중적으로 투입했으며 친환경 유기농업 확대를 위한 중장기 계획도 발표했다.
도가 이같이 먹을거리 안전 확보에 발벗고 나선 것은 그동안 멜라민 파동, 가공식품 이물질 검출, 농약검출 농산물 등으로 갈수록 커지고 있는 소비자들의 식품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또 이를 통해 도내 생산 먹을거리의 경우 '언제 어디서나' 마음놓고 먹을 수 있다는 신뢰감을 확산시켜 농가소득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먹을거리 안전성 확보를 위한 대책의 핵심중 하나는 지난해 10월부터 구성, 운영중인 '먹을거리 안전관리단' 활동의 강화다.
식품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된 안전관리단은 식품 민원 일사천리(1472) 시스템과 먹을거리 불만처리 콜센터(☎031-120), 3無(무제한.무기한.무차별) 검사시스템 등 다양한 시책을 운영하며 밤낮을 가리지 않고 현장을 누비고 있다.
도는 또 2011년 제17차 세계유기농대회 개최를 계기로 친환경 농산물 생산 기반을 대폭 확대하기로 하고 지난 7월 14일 김문수 지사와 앙드레 류 세계유기농업운동연맹 부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2020 오가닉(Organic) 비전' 선포식에서 유기농업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도는 농림수산식품부와 협의해 기업형 유기농업체들이 입주하고 친환경 유기농산물 직거래 장터 등이 들어서는 33만㎥ 규모의 '유기농 특구'를 지정, 운영할 예정이다.
또 유기농 농산물 가공식품업체 35개, 유기화장품 생산업체 10개, 유기섬유.패션 업체 25개, 유기장난감업체 20개, 유기가구업체 10개 등 100개의 친환경 유기 관련 업체를 육성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1443㏊에 불과한 유기농산물 재배 농경지 면적을 2020년까지 9000㏊로 늘리고, 381억원을 들여 100곳에 친환경농업지구를 조성하는 한편 광주 곤지암에 2011년 말 완공을 목표로 친환경농산물 전문유통센터를 건립할 예정이다.
남양주와 양평 등 팔당 지역은 클린농업벨트로 조성하고 유기농 마이스터 학교도 설립할 계획이다.
도는 이같은 계획을 통해 현재 4000억원 규모인 국내 유기 관련 산업 규모를 4조원까지 확대하고 도지사 인증 우수농축수산물인 G마크 농산물의 시중 유통비율을 2%에서 10% 이상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도는 지난해말 쇠고기의 생산.유통 단계를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는 이력추적제를 전면 시행한데 이어 앞으로 모든 농수산물에 대한 생산이력제를 실시하기로 했다.
소비자들로부터 의뢰받은 농산물의 안전성 검사 등을 위한 가칭 '먹을거리 119센터'도 지역별로 설치, 운영하고 연구기관을 포함, 민.관이 합동으로 '안전먹을거리 추진위원회'도 설치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세계유기농대회를 계기로 경기지역을 아시아의 유기농업 중심지로 발전시키는 동시에 경기지역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포함 모든 식품은 '자연 그대로의' 믿을 수 있는 먹을거리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푸드투데이 이경희 기자
001@foodtoday.or.kr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