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람이 걷는 길(2)]K푸드부터 엔터테인먼트까지...K콘텐츠의 모든 것, 이재현 CJ그룹 회장

  • 등록 2025.09.22 17:31:06
크게보기

해외시장 개척 선구자 'CJ제일제당' 비비고 만두 단일 품목으로 세계 시장에서 2020년 처음으로 연 매출 1조원 돌파
이재현 회장, 유럽 지역 현장경영까지 나서...글로벌 리딩 컴퍼니로 도약하기 위한 발걸음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영국 런던을 찾아 유럽 사업 확대 가능성을 점검하고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나섰다. 이 회장은 지주사와 계열사 주요 경영진과 함께 지난 9일부터 런던을 방문했다.


이미경 CJ 부회장, 김홍기 CJ주식회사 대표, 윤상현 CJ ENM 대표, 정종환 CJ ENM 콘텐츠·글로벌사업 총괄 등 그룹 핵심 경영진이 동행했다. 

 

이 회장은 지난해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을 시작으로 올해 일본과 미국을 방문하며 글로벌 현장 경영을 본격화했다. 
 

이재현 회장이 유럽 지역 현장경영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그룹의 글로벌 영토 확장에서 유럽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한 행보다.

 

이 회장은 "글로벌 리딩 컴퍼니로 도약하기 위해 유럽 지역을 포함한 신영토 확장을 가속해야 한다"며 "그룹의 글로벌 사업 거점인 미국에 이어 잠재력이 큰 유럽 시장에서 신성장 기회를 적극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럽에서 전방위로 확산하는 K웨이브가 기회...범(汎) 유럽 톱티어 플레이어'로 도약 다짐
이 회장은 현지 임직원을 만난 자리에서 "유럽 지역에서 전방위로 확산하는 K웨이브를 놓치지 말고 현지 시장을 빠르게 선점해 '범(汎) 유럽 톱티어 플레이어'로 도약해야 한다"며 "유럽이 미국을 잇는 전략 지역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글로벌 영토 확장 속도를 높여달라"고 
주문했다.

 

이 회장은 글로벌 투자회사 액세스인더스트리즈 창업자인 렌 블라바트닉 회장을 만나 글로벌 미디어·엔터 시장 현황을 공유하고 K콘텐츠의 확산과 플랫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액세스 인더스트리즈는 워너뮤직 등을 거느리고 있다.

 

이 회장은 또 외교·안보 싱크탱크 채텀하우스영국 왕립 국제문제연구소의 브론웬 매덕스 소장과 회동하며 통상 환경 변화에 따른 유럽 시장 영향과 사업 기회를 점검했다. 조지은 옥스포드대 교수를 만나 유럽의 문화 소비 트렌드와 K푸드·K뷰티로의 확산 가능성도 살폈다.

 

이 밖에도 아랍에미리트(UAE) 국부펀드 무바달라 최고경영자이자 맨체스터 시티 FC 등 13개 구단을 보유한 시티풋볼그룹 공동 창립자인 칼둔 알 무바라크,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마케팅 국장을 지낸 페인 스포츠 미디어 스트래티지스 마이클 페인 대표 등과 글로벌 소비재·콘텐츠 기업의 스포츠 마케팅 활용 전략을 논의했다.

 


독일 마인프로스트 인수 후 프랑스·헝가리에 잇따라 법인 설립
CJ그룹은 유럽에서 사업 다각화를 추진해 왔다.2018년  독일에 식품 법인을 설립하고 냉동식품기업 마인프로스트를 인수했다. 2022년 영국, 2024년 프랑스·헝가리에 잇따라 법인을 설립하며 사업 기반을 넓혔다.

 

특히 CJ제일제당은 빠르게 성장하는 유럽 만두 수요에 대응하고 생산 품질을 표준화하기 위해 헝가리 부다페스트 인근에 신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이를 통해 내년 하반기부터 비비고 만두를 생산해 유럽 시장에 판매하고 추후 비비고 치킨 생산 라인도 증설할 계획이다.

 

CJ그룹은 유럽 내 K팝·K뷰티 열풍을 바탕으로 엔터테인먼트와 뷰티 사업 기회도 확대하고 있다. 영국과 프랑스는 미국 할리우드를 대체할 차세대 글로벌 콘텐츠 제작 허브로 꼽힌다. CJ ENM은 지난해 독일에서 케이콘(KCON)을 개최하고 K콘텐츠 판매를 위해 유럽지역 플랫폼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등 신시장 개척에 힘쓰고 있다.

 

CJ올리브영은 2021년부터 글로벌몰을 통해 영국·프랑스·독일 등 유럽 16개국에 판매를 시작해 현재 26개국까지 판매 권역을 확대했고 지난해 유럽 전담팀을 꾸렸다. 지난해 말 전략국가로 영국을 선정하고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CJ그룹 관계자는 "이번 영국 현장경영은 아시아·미주·유럽을 잇는 글로벌 영토 확장의 일환으로, 그룹의 미래 성장을 뒷받침할 전략적 행보"라며 "식품·뷰티·엔터 등 그룹 핵심 사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만들 예정"이라고 말했다.
 

’케데헌 열풍 이전에 ‘비비고’가 있었다...한식 세계화의 시작
2010년 한식의 세계화를 내세워 글로벌 브랜드 ‘비비고’를 선보이며 해외 진출을 밀어붙인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뚝심이 열매를 맺었다.

 

특히 북미에서 4조713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시장 점유율 1위 '비비고 만두'는 2위 브랜드와 3배 이상 차이다. 슈완스의 대표 피자 브랜드 '레드바론'도 1등 자리를 지켰다. 유럽에서도 연 매출이 처음으로 1000억원을 넘어섰다. 프랑스·스페인 등 신규 국가 진출에 속도를 내고, 유럽 대형 유통채널에서 제품 판매를 확대한게 주효했다.

 

CJ제일제당은 호주에서 울워스에 이어 콜스, IGA에 입점했다. 현지 주요 매장 10곳 중 8곳에서 비비고 제품을 판매 중이다.

 

특히, 미국 시장은 핵심으로 꼽힌다. CJ제일제당은 미국 시장에서 조 단위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미국시장 순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한 3조7353억원으로 나타났다. 해당 수치는 2019년 상반기 1조9966억원 대비 꾸준히 상승한 것이다.

 

회사가 미국 시장에서 순항할 수 있는 비결로 현지화된 '만두사업'이다. 2023년 기준 미국 성인 비만율은 약 35%로 비만은 미국의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소비자들 사이에서 건강식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CJ제일제당은 이러한 흐름에 맞춰 지방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돼지고기 대신 닭고기를 이용했다. 또한 만두피도 얇게해 채소의 비율을 높였다. 그 결과 2016년 미국에서 25년 동안 1위를 지켜온 중국 업체를 제치고 비비고가 1위를 달성하는 기염을 토했다.

또, '소바바치킨'에 이어 '통새우만두' 등 국내 '메가 히트 상품'의 해외 진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오는 2027년 가동을 목표로 하는 미국 중서부 사우스다코타 주 수폴스에 위치한 '북미 아시안 푸드 신공장'과 내년 가동을 목표로 하는 유럽의 헝가리 공장을 통해 'K-푸드 영토 확장'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최근에는 괌 미군기지 내 위치한 대형 식료품점(Commissary)에서 식물성 만두, 떡볶이, 햇반, 컵밥 등 K-푸드 제품군 판매를 시작했다.

 

선보이는 제품은 식물성 비비고 왕교자 3종(오리지널, 김치, 잡채), 비비고 떡볶이 6종(스위트/치즈/스파이시, 컵과 파우치 각각 3종), 햇반 3종(백미, 흑미밥, 발아현미밥), 햇반 컵반 2종(미역국밥, 옐로우크림) 등 4개 품목 총 14종이다.

 

 CJ제일제당은 해외시장을 개척하며 K-푸드의 위상을 글로벌 주류 식품으로 올려놓고 있다. 비비고 만두는 단일 품목으로 세계 시장에서 2020년 처음으로 연 매출 1조원을 돌파한 뒤 매년 두 자릿 수 이상 성장하고 있으며, 지난해 비비고의 미국 B2C 그로서리 만두 시장 점유율은 41%로 상승세를 지속하며 1위를 지키고 있다.

푸드투데이 조성윤 기자 w7436064@naver.com
Copyright @2002 foodtoday Corp. All rights reserved.




(주)뉴온미디어 | 발행인/편집인 : 황리현 | 등록번호 : 서울 아 01076 등록일자 : 2009.12.21 서울본사 :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TEL. 02-2671-0203 FAX. 02-2671-0244 충북본부 : 충북본부 :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TEL.070-7728-7008 영남본부 : 김해시 봉황동 26-6번지 2층 TEL. 055-905-7730 FAX. 055-327-0139 ⓒ 2002 Foodtoday.or.kr. All rights reserved. 이 사이트는 개인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 푸드투데이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