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식품안전정보원(원장 이재용)은 식품접객업소에서의 해충 발생을 예방하고 식품 안전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해충! 음식점 출입금지! 이렇게 예방하세요.' 카드뉴스를 제작·배포한다고 2일 밝혔다.
최근 3년간 소비자 신고 통계에 따르면 조리음식에서 발생한 접객업 이물신고는 꾸준히 접수되고 있으며, 벌레(해충) 관련 신고의 비중이 매년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접객업 이물 신고 건수는 2022년 2,928건, 2023년 2,394건, 2024년 2,641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증감은 있었지만 매년 2천 건 이상 꾸준히 신고가 접수된 셈이다.
유형별로는 벌레 이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2022년 668건(22.8%)에서 2023년 593건(24.8%)으로 소폭 늘었다가, 2024년에는 496건(18.8%)으로 다소 감소했다.
해충은 식품 위생에 나쁜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소비자의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어 식품접객업소에서는 철저한 위생 관리와 해충 발생을 막기 위한 사전 예방 조치가 필수적이다.
카드뉴스에는 식품접객업소에서 지켜야 하는 해충 예방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알기 쉽게 담았다.
외부로부터 해충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출입문을 닫힌 상태로 유지하고,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틀 배수구에는 부착형 방충망을 설치하고, 벽·천장·바닥에 틈새가 발생했다면 실리콘 등 충진재로 신속히 보수해야 한다.
폐기물은 뚜껑이 있는 통에 보관하고, 음식물 쓰레기는 악취로 인해 해충 서식지가 될 수 있으므로 쓰레기통을 자주 비우고 세척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품을 보관·취급하는 공간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고, 채소·과일 등 식재료는 물로 충분히 세척·소독하여 벌레 등 이물을 제거해야 한다. 구입한 식품은 유리나 플라스틱 등 밀폐 용기에 담아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재용 원장은 “식품접객업소의 철저한 위생 관리와 해충 차단은 국민의 식품 안전 확보를 위한 필수조건”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식품안전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안전한 외식 환경 조성에 기여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식품안전 관련 위법 행위를 목격하거나 불량식품으로 의심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부정·불량식품통합신고센터(☎1399)로 적극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해당 카드뉴스는 식품안전정보원 홈페이지(www.foodinfo.or.kr)→지식마당→식품안전콘텐츠 게시판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