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어기구) 전체회의에서 최근 경남 산청과 하동, 경북 의성·안동·청송, 울산, 대구 등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 피해에 대한 대응 상황과 향후 지원 대책을 보고했다.
이날 회의는 3월 21일 경남 산청에서 시작된 초대형 산불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사상 최악의 농업 피해를 초래함에 따라, 국회 차원에서 정부의 피해지원과 재발 방지 대책을 청취하고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한 농업 분야 피해는 4월 9일 기준 △농작물 3,795ha △시설하우스 715동 △축사 237동 △농기계 8,308대 △가축 21만8,000두 등으로 잠정 집계됐다. 최종 피해 규모는 오는 4월 말까지 중앙·지자체 합동조사를 통해 확정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산불 발생 즉시 중앙사고수습본부 지원상황실을 설치하고, 주요 피해지역에 전문가를 파견하는 등 긴급 대응에 나섰으며, 지난 3월 31일에는 ‘산불 피해지역 농업인 긴급지원 대책’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정부의 주요 지원 대책은 다음과 같다.
우선, 농기계와 자재를 피해지역에 신속히 공급해 농업인의 영농 재개를 돕는다. 지자체·농협·농기계업체 등과 협력해 농기계를 무상 임대하고, 수리봉사반 18개 팀을 운영하는 한편, 5,500억 원 규모의 농기계 구입자금을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또한, 비료·농약 등 농자재는 피해 농가에 최대 50%까지 할인 공급하고, 종자와 묘목도 충분히 확보해 우선 공급한다. 관련 사업 예산을 활용해 시설하우스의 신·개축과 장비 개보수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축산농가에는 사료 구매자금 1,100억 원을 배정해 우선 지원하고, 자조금을 활용한 구호물자 지원, 동물의료지원반 편성·운영, 중장비 임차료 지원 등도 함께 추진된다.
농업인의 경영과 생활 안정을 위해서는 농축산 경영자금의 상환을 최대 2년간 유예하고 이자를 감면한다. 재해대책경영자금은 농가당 최대 1억 원까지 확대 지원하며, 농협 등과 협력해 긴급 생활안정자금과 재해자금 등 가용 재원을 총동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봄배추·마늘·사과 등 주요 품목의 수급 불안 우려에 대응해 생육 상황을 철저히 관리하고, 출하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농자재와 약제를 추가 지원하는 등 대비를 강화할 방침이다.
정부는 피해 농가에 재해보험금의 50%를 우선 지급하고, 복구비·생계비·학자금·세금·보험료 감면 등 실질적인 생활지원도 병행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복구비 지원단가 현실화, 보조율 인상, 특별위로금 지급 등도 관계기관과 협의해 추진할 방침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이번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농업인들과 유족분들께 깊은 위로를 전한다”며 “정부와 유관기관 모두가 피해 농업인의 영농 재개와 일상 회복을 위해 끝까지 책임감을 갖고 전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