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홍성욱 기자] 국내 소비자들은 '미국산 쇠고기' 보다 '호주산 쇠고기'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차이가 해마다 좁혀져 지난해 미국산 쇠고기 소비 의향은 전년대비 0.4%p 증가한 반면 호주산 쇠고기 소비 의향은 4.6%p 감소했다. 1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가구의 35.7%는 미국산 수입 쇠고기를 소비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으나 ‘잘 모르겠다(37.5%)’ 또는 ‘먹지 않을 것이다(26.8%)’라는 의견도 상당수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년 대비 미국산 수입 쇠고기를 소비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1.4%p 감소했고 소비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0.4%p 증가했다. 미국산 수입 쇠고기에 대한 소비 의향이 있는 가구 비중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가구(44.2%), 1∼2인 가구(36.3%, 36.6%), 가구주 연령이 40대인 가구(40.8%), 가구주의 교육 수준이 고졸-전문대졸 이상인 가구(37.2%, 36.8%), 월평균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호주산 수입 쇠고기 소비 의향에 대해서는 ‘아마 먹어 볼 것이다(43.9%)’
[푸드투데이 = 홍성욱 기자] 최근 가정간편식(HMR) 시장이 커지면서 수산물도 HMR이 대세다. 손질이 불편해 요리하기 번거러웠던 수산물을 반조리나 조리 형태로 구입하는 비중이 해마다 늘고 있는 반면 집에서 손질하는 비중은 감소하고 있다. 이같은 소비패턴은 1인 가구에서 더 뚜렷했다. 1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가구의 수산물 구입 형태에 대한 조사 결과, 수산물을 구입할 때 대부분이 ‘구입처에서 손질한 형태(60.3%)’로 구입하거나 ‘포장한 형태(29.0%)’를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경우 ‘반조리(조리) 형태’로 구입하는 비중은 8.0%(1.1%)로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손질한 형태’로 구입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반조리나 포장 형태로 구입하는 비중은 해마다 증가했다. 포장 구입과 반조리 구입 비중은 각각 29.0%, 3.5%로 지난해 보다 4.5%p, 1.6%p 늘어났다. 반면 집에서 손질하는 비중은 해마다 감소 추세를 보였는데 지난해 7.8%에서 올해 6.9%로 0.9%p 감소했다. 가구주 연령이 높을수록, 가구주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집에서 손질’하는 비중이 대체로 증가했
[푸드투데이 = 홍성욱 기자] 정부가 관리하는 식품 인증제 중 소비자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은 ‘원산지 표시’와 ‘유기농 인증'으로 꼽혔다. 하지만 인증마크별 구매 빈도는 '가공식품 KS 표시'가 가장 높았다. 1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식품의 주요 표시에 대한 인지도 조사 결과, ‘원산지 표시(96.4%)’와 ‘유기농 인증(91.0%)’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뒤이어 '가공식품 KS표시(89.6%)',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84.2%)', '생산이력제도(82.6%)' 순이다. 반면 ‘지리적 표시(74.2%)’, ‘농산물우수관리(GAP)(75.5%)’, ‘유전자변형 식품 표시(GMO)(75.7%)’는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식품 인증마크 인지도가 높다고 실제 구매로 이어지는 않았다. 식품 인증마크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성인 가구원을 대상으로 표시 상품의 구입 빈도를 조사한 결과, ‘가공식품 KS 표시’, ‘원산지 표시’ 상품을 가끔 또는 자주 구매하는 비중(68.6%)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64.2%)’, ‘지리적 표시(51.0
[푸드투데이 = 홍성욱 기자] 하나를 고를 때도 깐깐하게~ 제품 정보를 세세하게 확인하는 소비자. 일명 '체크슈머(Check+consumer)'가 늘고 있다. 이들은 '주위사람'이나 '방송'에서 정보를 얻기 보다는 제품의 성분과 원재료를 직접 확인하고 구매하는 소비패턴을 보인다. 11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식품에 대한 품질이나 식생활 관련 정보 획득 경로 조사 결과, '주위 사람(29.6%)'이나 '방송(25.7%)'을 통해 얻는다는 응답이 높았다. 그 다음으로 '포장지 표시나 문구(14.5%)', '판매자(14.1%)', '인터넷 블로그 또는 SNS(5.8%)', '광고문구(3.0%)'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는 대부분 주위 사람이나 방송을 통해 정보를 얻고 있으나 그 비중은 작년 대비 각각 2.6%p, 1.9%p 감소했다. 반면 포장지 표시나 문구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고 응답한 비중은 5.2%p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여성은 ‘주위 사람(29.7%)’이나 ‘포장지 표시나 문구(14.8%)’에서, 남성은 ‘방송(26.0%)’이나 ‘인터넷 블로그(6.0%)’라고 응답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
[푸드투데이 = 홍성욱 기자] 국내 성인 10명 중 8명은 식품 관련 피해 처리에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대응 방법으로는 '구입처에 불만 제기'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냥 지나친다'는 응답도 상당했다. 5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식품 피해 대응 방법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구입처에 불만 제기(40.8%)'한다고 응답한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그냥 지나쳤음(34.1%)’, ‘생산자(업체)에 불만 제기(29.7%)’, ‘소비자단체 상담센터에 의뢰(8.7%)’의 순서이다. 생산자 보다는 구입처에 불만을 제기한다는 응답 비중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격차는 점차 축소되는 추세를 보였다. 구입처에 불만을 제기한다는 응답 비중은 2017년 52.6%에서 2018년 40.8%로 떨어진 반면 같은 기간 생산자에 불만을 제기한다는 응답 비중은 22.9%에서 29.7%로 증가했다. '소비자단체 상담센터에 의뢰', '공공 기관에 제보 및 신고', '인터넷에 사례 공유, 언론 제보'하는 경우는 그 사례가 적었으나 전년 대비 각각 1.1%, 1.5%, 1.7% 상승했다. 식품 관련 피해
[푸드투데이 = 홍성욱 기자] 국내 성인 대부분은 식품 구매 시 포장지에 표시된 내용을 확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식품 표시 활용도 조사 결과, 거의 매번 본다는 응답 비중은 16%에 불과했다. 그럼에도 식품 표시에 대한 신뢰도는 55.9%로 전년 대비 9.7%p 상승했다. 2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성인 가구원의 경우 식품 구매 시 포장지에 표시된 내용을 ‘볼 때도 있고 안 볼 때도 있다(56.2%)’는 응답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거의 매번 보거나 보는 편’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16.0%에 불과했고 ‘거의 안 보는 편이거나 전혀 안 본다’는 응답은 27.8%에 달했다. 5점 척도평균은 2.83점으로 식품 표시를 보지 않는 경향이 높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동 지역(2.84점), 여성(2.97점), 전문대졸 이상(2.88점), 30대(2.96점), 월평균 가구 소득 400만~500만 원대(2.90점 이상)인 경우 식품 표시 사항을 확인하는 경향이 다른 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식품 표시에 대해 신뢰하는 비중은 55.9%,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40.3%로 나타났다. 식품 표시를 신뢰하
[푸드투데이 = 홍성욱 기자] 국내 성인 10명 중 5명은 국내 식품 안전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은 여성일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높았다. 특히 성인의 절반 이상인 64%는 안전한 식품을 위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2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성인의 50.3%가 우리나라의 식품 안전성에 대해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통(46.9%)’이라고 응답한 비중도 상당히 높았다.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를 5점 척도로 환산해 점수를 산출할 경우 성인의 평균은 3.49점 수준이다. 수도권에 거주하거나 동 지역에 거주하는경우, 여성이거나 교육 수준이 전문대졸 이상인 경우 모두 3.5점 이상으로 식품 안전성에 대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식품 안전성 제고에 대한 지불 의향을 묻는 응답에는 성인의 절반 이상인 64.2%는 안전한 식품을 위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4.6%는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식품을 위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을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성인은 평균 3
[푸드투데이 = 홍성욱 기자] 국민 1명이 하루 버리는 생활 쓰레기 930g, 이 중 음식물 쓰레기가 40%나 차지한다. 하루에 1만 5000톤이 넘는 음식물 쓰레기가 쏟아지며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지만 정작 가정 내에서 버려지는 음식물 쓰레기가 전년 보다 '감소' 했다는 응답은 한 자릿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가정 내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양에 대해 17.7%가 ‘많다’로 응답했다. 특히 '적다'고 답한 비중은 19.8%에 불과했으며 '보통'이라고 답한 비중은 62.5%로 가장 많았다.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가구주 연령이 40~50대일수록, 가구주 교육 수준과 가구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음식물쓰레기 양에 대해 더 ‘많다’라고 인식했다. 1인 가구와 2인 가구의 경우 '많다'고 답한 비중이 각각 5.5%, 13.5%인데 반해 4인 가구와 5인 가구는 각각 30.4%, 39.3%였다. 전년 대비 음식물쓰레기 양 변화에서도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증가한 비중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전년 대비 가구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 양의 변화에 대해서 전체 가구의 14.2%가 '증가'로 응답한
[푸드투데이 = 홍성욱 기자] 학부모들은 학교급식이 자녀들의 식사 습관과 가정에서 밥 잘 먹게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긍정평가했지만 품질에 대해서는 다소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 역시 학교급식 품질에 대해서는 낮은 점수를 매겼는데 고등학생이 중학생 보다 만족도가 더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학교급식을 이용하는 자녀가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식사 습관에 도움이 되는' 측면과 '가정에서 밥을 잘 먹게 하는' 측면에 대해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중이 높은 편으로 5점 만점 기준시 각각 3.77점, 3.70점의 평가를 얻었다. 학교급식의 품질에 대해서는 3.57점으로 다소 낮은 평가를 받았다. 학교급식에 대한 만족도는 읍.면 지역에 거주하거나 가구주의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식사 습관에 도움이 되는’ 측면에 대해 5점 만점으로 읍·면 지역 거주 가구는 3.81점, 동 지역 거주 가구는 3.77점으로 평가했다.'가정에서 밥을 잘 먹게 하는' 측면과 '품질이 우수하다는' 측면에 대한 평가도 전문대졸 이상 가구의 경우 각각 3.76점, 3.
[푸드투데이 = 홍성욱 기자] 국내 소비자들은 식품소비 정책 중 어떤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길까. 한 설문조사결과 '식품 안전 보장'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특히 '식품 관련 피해 구제'를 중요시 한다는 응답은 전체 항목 중 지난해 대비 가장 큰 폭의 증가율을 기록해 식품사고로 인한 소비자 보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1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8 식품소비행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식품 관련 소비자 정책 중 ‘식품 안전 보장(34.0%)’을 가장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식품 관련 거래 적정화(24.4%)’와 ‘식품 관련 피해구제(22.2%)’가 꼽혔다. '식품 안전 보장'을 가장 중요시 했으나 그 비중은 전년 대비 3.3%p 감소한 반면 '식품 관련 거래 적정화', '식품 관련 피해 구제'를 중요시 하는 비중은 각각 0.6%p, 4.5%p 증가했다. 여성은 ‘식품 안전 보장(34.2%)’과 ‘식품 관련 피해구제(22.5%)’를 남성보다 중요하게 평가했으며 남성은 ‘식품 관련 거래 적정화(25.2%)’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평가했다.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식품 표시 정보의 제공’이 중요하다는 응답 비중이 증가했고 월평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