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집중호우와 지속되는 폭염, 그리고 태풍 카눈이 들이닥치면서 농산물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특히, 배추와 무를 비롯한 채소류의 도매가격이 전달대비 두 배 이상 급증했다. 10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배추 10kg 가격은 2만 3080원을 기록했다. 이는 7월 9189원에서 151.2%나 급등한 가격이다. 무 역시 20kg 기준 1만2170원에서 2만8500원으로 134% 올랐다. 같은 기간 대파 가격 역시 53% 상승했다. 깻잎(2kg)는 2만505원에서 3만8560원으로, 시금치(4kg)는 3만5090원에서 5만5860원으로 올랐다. 100g당 가격은 2305원으로 평년 평균보다 54.5%나 올랐다. 붉은고추(10kg)의 지난달 평균 가격은 6만6476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5.4% 뛰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폭우로 여의도 면적의 농경지가 참수되면서 공급량 감소에 상승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문제는 태풍 카눈에 따른 피해도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추석을 앞두고 수급이 불안정 해지면서 ‘물가대란’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배추의 경우 6월부터 10월까지 시장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호텔에서 판매하는 빙수의 가격이 10만원을 넘어서면서 논란에 휩싸였다. 21일 호텔업계에 따르면 호텔신라는 오는 27일부터 8월 말까지 ‘더라이브러리’에서 애플망고빙수를 판매한다. 망고빙수의 열풍을 주도한 이 곳의 빙수 가격은 지난해는 8만3000원이었지만 올해는 18% 오른 9만8000원에 판매한다. 신라호텔 관계자는 "제주산 애플망고 빙수는 원가율은 50%가 넘기 때문에 다른 메뉴보다 원가가 높다"면서 "식재료비 등의 물가가 상승하며 불가피하게 가격을 조정했지만, 최고의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포시즌스 호텔은 내달 9월 말까지 1층 로비라운지 ‘마루’에서 ‘제주 애플망고 가든 빙수’와 ‘마루 빙수’, ‘베리&그래놀라 빙수’ 등 5종을 판매한다. 제일 비싼 제주 애플망고 가든 빙수의 가격은 12만 6000원이다. 작년에 판매한 9만6000원보다 무려 31% 인상한 가격이다. 롯데호텔도 올해 애플망고 빙수 가격을 9만2000원으로 책정했다. 지난해에 비해 5%가 올랐지만 이미 2022년에 50% 가까이 올렸기 때문에 더이상의 상승은 무리라고 판단했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이에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외식물가의 고공행진이 지속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본죽과 본죽&비빔밥 등의 운영사 본아이에프가 죽과 비빔밥 등 일부 메뉴 가격을 최대 16% 인상됐다. 죽 메뉴는 지난해 2월 이후 1년 만에, 비빔밥은 지난해 6월 이후 약 7개월 만에 가격이 오른 것이다. 야채죽은 9000원에서 9500원으로 500원 올랐다. 전복내장죽은 1만4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1000원 조정됐다. 쇠고기야채죽은 1만원에서 1만1500원으로 1500원이 인상됐다. 본나물비빔밥(8500원), 돈불백비빔밥(9500원) 등은 각각 기존보다 500원씩 올랐다. 소불고기비빔밥(1만원), 매콤낙지비빔밥(1만원)은 1000원 올랐다. 피자 업계 톱3 가운데 하나인 미스터피자도 가격을 인상 소식을 알렸다. 피자를 비롯해 사이드 메뉴 가격도 4~5% 인상했다. 프리미엄 피자 기준으로 미디움은 5.6%, 라지는 4.3% 인상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미디움 사이즈는 평균 가격이 3만원을 넘어섰고, 라지 사이즈는 4만원에 육박하게 됐다. 미스터피자 쪽은 “피자에 들어가는 수입산 치즈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등 제반 비용이 크게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지난해 국산 김치의 무역수지가 무려 2천858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김치 수입액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26일 관세청(청장 윤태식)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김치 수입액은 전년보다 20.4% 증가한 1억6천940만달러(2천92억원)로 사상 최대였다. 업계는 지난해 김치의 원재료 가격이 뛰면서 국산 김치 가격도 덩달아 인상,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 김치를 찾는 경우가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해 김치 수출액은 1억 4천 82만 달러로 1년 전보다 11.9% 줄었는데, 김치 수출액이 줄어든 것은 7년 만이다. 김치 수입액이 줄어든 배경으로 코로나 사태가 잠잠해진 것도 나름의 이유가 있다. 외국에서 한국 김치가 면역력을 높이는 건강식품이라는 인식이 확산한 데다 한류 확산 속에 인기가 올랐지만 상황이 잠잠해지며 특수도 종료됐기 때문이다. 반면, 수입액 증가율은 2010년(53.8%) 이후 12년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입 김치는 모두 중국산 김치다. 지난해 중국산 김치의 t당 가격은 643달러인데 이는 수출 김치(3425달러)의 18.8% 수준에 불과하다. 김치 수입액은 2019년 1억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오전 10시에 맞춰 왔지만 '발베니'를 구입하지 못했어요." 인기 위스키 중 하나인 '발베니'가 이마트에서 한정 판매된 지난 6일. 이마트 역삼점의 주류코너에 발베니를 구하기 위해 개장 전부터 줄을 서는 모습이 연출됐다. 이날 역삼점에서 열린 인기 위스키 특별전에는 '발베니 12년 더블우드(700㎖, 9만9천800원)' '발베니14년 캐리비안캐스크(700㎖, 17만8천원)' '몽키숄더(700㎖, 5만1천800원)' 등 3종을 선보였다. 이 제품들은 개점 5분 만에 동이 났다. 주류팀 담당자는 "1인당 최대 2병까지 구매할 수 있었는데 발베니 12년산과 14년은 오픈하자마자 모두 팔렸고 몽키숄더 역시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몇 분 차이로 구매를 하지 못한 소비자들은 아쉬움을 드러내는 광경이 연출됐다. 행사 둘째날인 7일에도 사정은 비슷했다. 개점 전부터 줄이 늘어섰고 바로 완판됐다. 판매 품목은 '히비키 하모니(700㎖, 13만8천원)' '야마자키 12년(700㎖, 29만8천원)' '맥켈란 12년 더블캐스크(700㎖, 9만9천800원)' '산토리 가쿠빈(700㎖, 3만9천800원)'이었다. 이마트 관계자는 지난해 추석부터 협력업체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식품기업이 일제히 물가 재인상을 시행하면서 소비자들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동서식품은 인스턴트 커피, 커피믹스 등 제품의 출고가격을 15일부터 9.8% 인상한다. 맥심 오리지날 리필 170g 제품은 6090원에서 6680원으로, 맥심 모카골드 커피믹스 1.2kg제품은 1만 2140원에서 1만 3330원으로, 맥심 카누 아메리카노 90g 제품은 1만 5720원에서 1만 7260원으로 각각 인상된다. 이번 가격 인상은 커피 원두와 물엿, 설탕 등 주요 원재료 가격과 에너지 가격이 상승한 데다 높아진 환율의 영향을 반영한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특히 커피 원두와 주요 원재료는 전량 수입하고 있어 고환율이 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설명이다. 가격인상은 올해 1월 이후 약 11개월 만이다. 1년도 되지 않아서 인상 카드를 꺼낸 것이다. 풀무원은 수입콩 두부인 소가 두부가격을 인상했다. 동서식품과 마찬가지로 가격을 인상하는데 1년도 걸리지 않았다. 지난 2월 두부 가격을 올린 지 약 9개월 만이다. 편의점 기준 풀무원 소가 찌개 두부(290g)는 기존 1500원에서 1600원으로, 풀무원 소가 부침 두부(290g)
[푸드투데이 = 조성윤기자] 농심이 미국 제2공장 가동에 힘입어 북미 매출이 전년보다 23% 늘어난 4억8600만달러(약 6433억원)로 추정되면서 사상 최대 실적이 예상된다. 사측은 미국인이 즐겨 찾는 한 끼 식사로 자리매김한 신라면의 브랜드 경쟁력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제2공장 가동으로 공급량이 늘어나 성장세에 탄력을 얻은 것으로 분석된다. 농심이 올해 북미 시장에서 대폭적인 성장을 이룬 바탕에는 지난 4월부터 가동을 시작한 미국 제2공장이 있다. 농심은 그동안 미국 시장에서의 성장세를 감안해 제2공장 설립을 추진해 왔다. 실제로 지난해에는 제1공장 생산량이 포화상태에 달해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한국에서 수출까지 동원하며 제품을 공급한 바 있다. 농심 미국 제2공장은 봉지면 1개, 용기면 2개 고속라인을 갖추고, 신라면 등 그동안 공급이 부족했던 제품의 대량생산기지가 되어 성장을 견인했다. 올해 북미 시장 성장을 이끈 대표제품은 단연 ‘신라면’이었다. 신라면(봉지)은 전년 대비 36% 늘어난 8300만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육개장사발면과 신라면블랙(봉지)도 전년 대비 각각 37%와 20% 매출이 오르며 전체 시장 성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