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0국감] 농진청 식품성분 DB 구축, 선진국 대비 현저히 뒤처져

국내 식품성분DB 생산량은 미국 대비 40% 수준에 불과...식품영양 정보 연구 미흡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승남 의원은 13일 피감기관인 농촌진흥청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업과 식품의 동반성장을 위해서는 농업 중심으로 편중된 농식품 R&D사업을 개선하고 농산물을 포함한 식품의 영양성분 분석 및 연구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농촌진흥청은 국민의 건강 유지, 올바른 농식품 영양정보 제공을 위해 1970년부터 농식품 영양성분 DB를 구축해 5년 주기로 '국가식품성분표(`21, 10개정판 예정)'를 발간하고 2019년부터 매년 대국민 공개를 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식품성분 DB 현황을 살펴보면 국내 식품원료 4900종 대비 약 30%의 데이터만 확보돼 있다. 이 중 16%도 외국 데이터를 인용한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미국 대비 40%에 불과하여 국내 영양성분 분석 데이터 자급률이 선진국 대비 뒤처지고 있다.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식품 소비(식생활)의 다양화로 식품성분 데이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반면, 현재 농촌진흥청의 식품성분 관련 분석, 데이터 가공 인력 및 서비스의 한계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김 의원은 “코로나19에 따른 가정간편식 시장 성장 등 식생활 변화로 식품영양정보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며 “국민건강 증진과 바람직한 식품소비·식생활 정착, 산업적 활용 및 농업의 부가가치 상승을 위해 농촌진흥청이 식품성분데이터 관련 연구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질의했다.

  
김 의원은 “농촌진흥청 내 식품성분 데이터 생산 관리를 위한 국가 전담 조직을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며 “식품성분 분석 확대 및 디지털정보 생산을 위해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한편, 국가표준식품성분 DB는 농식품부(농산물수급조절), 식약처(식품안전나라 영양정보 서비스), 보건복지부(국민건강통계, 한국인영양섭취기준설정), 교육부‧국방부‧법무부(단체급식)에서 활용하고 있으며, 병원 환자식 개발, 식이섭취 소프트웨어 및 스마트 가전 개발, 검색포털 영양정보 서비스, 온라인 유통 및 수출 농산물 영양표시 등의 산업진흥 부문에서도 활발히 쓰이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