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설 차례상 A부터 Z까지' 우리집 차례상엔 어떤 음식이 올라갈까



[푸드투데이 = 황인선기자]  민족 대명절 설이 돌아왔다. 새해 첫날을 맞이해 정갈한 마음으로 조상님께 감사 인사를 드리는 날인만큼 설날 행사 중 가장 큰 일은 바로 차례다. 명절때마다 차례상을 차리지만 어렵기만하고 의미도 모른 채 준비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차례상에 오르는 음식에는 하나 하나 상직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지역별 사투리가 있듯 차례상도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 


그래서 준비했다. 설날 차례상 제대로 알고 차리자. 

한 해의 첫날인 설날과 가장 큰 달이 떠오르는 정월 대보름은 예부터 우리 민족에게 중요한 명절로서 한식, 단오, 추석 등과 함께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차례는 설이나 추석 같은 명절에 조상에게 올리는 제례를 말한다. 여기에는 조상을 숭배하고 그 은혜에 보답하려는 의미가 담겨 있다.

국립민속박물관에 따르면 설차례는 설날 아침 조상에 대한 세배로서 이를 정조다례(正朝茶禮)라고 하고 떡국을 올렸다 해 설차례를 떡국차례라고도 한다.

차례는 보통 기제사와 달리 아침에 지내기 때문에 촛불을 켜지 않고 술은 한 번만 올린다. 일반적으로 제수를 장만할 때는 귀신을 쫓는다는 복숭아와 어감이 치사한 꽁치.삼치.갈치 등 치자가 들어가는 생선 등은 쓰지 않는다. 또한 고추와 마늘 같은 자극성 있는 양념도 피한다. 제사를 지내기 전에는 제상에 올릴 제수를 먹어서는 안 된다.

차례의 제수는 기제사의 상차림과 같으나 몇 가지 다르다. 오늘날에도 많이 사용되는 제수는 반(밥), 갱(국), 면(국수), 편(떡), 편청(조청·꿀), 탕(찌게), 전(부침개), 적(구이), 포(말린 고기), 해(젓갈), 혜(음료), 숙채(익힌 나물), 침채(김치류), 청장(맑은 간장), 술, 과실 등이다.

차례상은 보통 5열로 차리는 것이 기본이다. 병풍이 가까운 쪽 음식이 1열이다. 1열에는 잔, 떡국, 시접을 놓고, 2열에는 육전, 적, 어전, 떡 등을 놓는데 어동육서와 동두서미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생선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놔야 한다. 3열에는 탕, 4열에는 밑반찬인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류를 놓는데 좌포유혜가 적용된다. 포 종류는 왼쪽으로, 식혜 등은 오른쪽, 삼색나물은 가운데 놓는다. 5열에는 조율이시와 홍동백서에 따라 후식인 과일이나 한과 등을 놓는다. 조율이시는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으로, 홍동백서는 붉은 과일을 동쪽으로 흰 과일을 서쪽으로 둔다.



◆  삼색실과 '대추·밤·감' 의미는

차례상 제일 앞줄에 놓는 과일, 약과, 강정. 제수 중 과실은 과일 나무에서 딴 생과(生果)와 곡식을 익혀 만든 다식이나 산자, 강정과 같은 증과 등을 총칭한 것이다. 생과나 증과는 모두 땅에 뿌리를 박아 낳은 지산(地産)이기 때문에 그릇 수를 음수(陰數)인 짝수로 해 2, 4, 6, 8접시로 한다.

흔히 말하는 삼색실과(三色實果)란 대추·밤·감 등 삼색과일과 세 가지의 증과를 이른다. 아무리 간소한 제사라 할지라도 대추, 밤, 감, 배는 반드시 쓰게 돼 있다. 만약 이것 없이 제사를 지냈다면 그 제사는 무효라며 다시 지내야한다는 말이 나올 만큼 이 세 가지 과일은 절대 빼놓지 않는다.

제사에 대추를 쓰는 것은 열매가 한 나무에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열릴 뿐만 아니라 다른 나무와는 달리 꽃 하나가 피면 반드시 열매 하나를 맺기 때문이다. 이는 대추처럼 사람도 태어났으면 반드시 자식을 낳고서 가야한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제상에 대추가 첫 번째 자리에 놓이는 것은 자손의 번창을 상징하고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밤을 꼭 쓰는 까닭은 대부분의 식물은 싹이 돋아나 어느 정도 크게 되면 싹을 낸 최초의 씨앗이 사라져 버리자만 밤만은 땅속에 들어가 새싹을 돋게 했던 최초의 씨밤이 그 나무가 크게 자라나도 땅속에서 썩지 않고 생밤인 채로 오래오래 그냥 달려있기 때문이다. 밤은 자손과 조상을 연결하는 영원한 상징으로 여겨지며 자신의 근본을 잊지 않는다는 의미를 가진다.

제사상에 또 빠질 수 없는 것이 곶감이다.

감이 없는 계절에도 곶감을 올리는 이유는 고욤나무에 감나무를 접붙여 감을 열리게 하는 것처럼 사람도 태어났다고 다 사람이 아니라 가르침을 받고 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믿음 때문이다. 

감씨를 심으면 반드시 감나무가 나와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고욤나무가 나온다. 감씨를 심기만 해서는 그 나무에 고욤이 열리지 감이 열리지 않는다. 감나무를 만들려면 감씨를 심어 고욤나무가 자라 3~4년쯤 되었을 때 감나무 가지를 거기에 접을 붙인다. 그것이 자라 감이 열리기 시작한다. 가르침을 받고 배우는 데에는 생채기를 째서 접붙일 때처럼 아픔이 따르듯이 사람도 교육이란 과정을 겪으며 선인들의 예지를 이어받을 때 비로소 진정한 한 인격체로 살 수 있다는 뜻에서 제상에 감을 놓는 것이다.



◆ 지역별 대표 명절 음식은

차례상 차림은 지역별로도 차이를 보인다.

서울과 경기도는 바다가 가깝지 않아 해산물보다 고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대표 음식으로 북어, 육전, 가자미, 녹두전이 있다. 예부터 통북어를 올렸는데 북어가 풍요와 다산의 의미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반면 바다를 접하고 있는 경상도는 다양한 생선들을 차례상에 올린다. 경북에서는 차례상에 빠지지 않고 올라가는 생선으로 돔배기가 있다. 잘 부서지지 않아 산적으로 만들어 차례상에 올라간다. 경남에서는 조기부터 민어, 가지미, 방어, 도미 등 다양한 생선을 올린다. 포 종류도 대구포, 가오리, 피문어 등 다양하다.

안동지역에서는 특산물인 안동 식혜가 차례상에 빠지지 않고 올라가는게 특징이다. 

전라도에서는 중요한 날, 잔치 음식의 대명사인 홍어가 빠지지 않는다. 주로 찜이나 포 형태로 올라간다. 그 외에도 지리적 특성성으로 인해 음식문화가 발달해 병어, 꼬막, 낙지 등 다양한 해산물들이 많이 올라간다.

산간지방인 강원도는 예부터 나물이나 감자와 같은 채소를 이용한 음식을 많이 올라간다. 감자전이나 무와 배추를 꼬치에 끼워 구운 적, 메밀전, 메밀총덕이 대표적인 음식이다. 강원도에서 해안지역에 속하는 강릉의 경우 명태로 만든 생선전을 올리기도 한다.

충청도에서는 다양한 음식을 볼 수 있는데 인근에 있는 지역에 따라 상차림이 조금씩 다르다. 경상도와 가까운 지역에서는 건어물인 대구포, 오징어, 피문어 등이 올라가고 전라도와 가까운 지역에서는 말린 홍어, 가자미, 작지 등을 주로 올린다.

제주도는 독특한 향토 문화를 가지고 있어 이색적인 음식들로 차례상이 차려진다. 제주도에서만 잡히는 옥돔과 전복이 차례상에 올라가며 과일은 제주 감귤, 파인애플, 바나나 등 다양하게 올라간다. 술은 '조'로 만든 오메기술을 차례주로 올리기도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