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300만 영남인 식수 위협, 낙동강 오염 진상 밝혀라”

“50여일동안 약 300마리 새 폐사체 수거 ‘죽음의 강’ 수준”
환경당국 안일한 대처 질타… 석포제련소 원인 추정 진상조사 촉구
김현권 의원, “내수면 물고기서 중금속 검출 대책 마련 시급”

 

[푸드투데이 = 금교영기자]  안동 낙동강사랑환경보존회·영풍석포제련소 봉화군대책위원회·태백시 영풍제련소 유치 반대위원회는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석포제련소 원인 추정, 안동댐 상류 조류 떼죽음 진상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낙동강 상류인 경북 안동시 와룡면 오천리 일대는 왜가리·백로 등 새 집단 번식지인데, 최근 4월말 경부터 하루 10여마리 이상씩 떼죽음하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며 “그간 중금속으로 오염된 댐 상류 실태를 외치고 물고기와 새 떼죽음 원인을 철저하게 밝혀달라고 아우성 쳐봐도 관계기관들은 명확한 답을 주지 않고 오직 모르쇠로 일관한다”고 비난했다.


이어 “지난 4월말부터 50여일동안 약 300마리의 새 폐사체를 수거했다. 현재 봉화군 석포면에서 안동댐 상류까지 흐르는 낙동강 주변에는 물고기가 죽어 말라 비틀어져 있거나 물속에서 썩어 둥둥 떠다니는 등 그야말로 ‘죽음의 강’ 수준”이라며 “낙동강 물은 1300만 영남인이 식수원으로 삼는 생명수인데 모든 관계기관과 환경 당국의 안일한 대처에 대해 분노를 금치 못한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단체들은 일부 하천 바닥에서는 검붉은 기름띠가 이뤄져 있고 퇴적층에서 중금속과 독금물들의 쉼 없이 새어나오고 있다며, 논란의 핵심으로 낙동강 최상류에 위치한 봉화 석포제련소와 폐광산에서 유출된 중금속 물질에 의한 하류 안동호의 오염 여부를 꼽았다.


이들은 “지난해 6월 낙동강사랑환경보존회 초청으로 내한한 일본 동경국립대 농공대 와타나베 교수의 연구 검증결과 안동댐 곳곳에 심각한 중금속과 독극물에 오염돼 있음을 증명하는 수치가 나타났음에도 환경부는 지난 4월 봉화군 석포면과 소천면 일부 주민 대상으로 설명회만 주관했을 뿐 어물쩍 넘어가려 하고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환경부와 수자원공사가 서식지 입구에 출입금지 현수막을 걸어놓고 하루에도 몇 차례씩 죽은 새들의 사체를 치우는 등 증거인멸에 나서고 있다는 의혹을 내놨다. 군락지에서 수자원공사 직원이 새 사체를 수거하는 현장을 목격해 촬영해놨으며, 죽은 물고기는 건져 한적한 곳에 묻어 버리기도 하는데 벌레가 생기고 악취가 진동해 며칠 지나지 않아 발각되고 있는 실정이라는 것.


단체들은 “2014년부터 국정감사에서 석포제련소의 낙동강 중금속 오염 문제가 다뤄졌고, 2015년 10월 낙동강 상류 물고기 체내 중금속 농도가 기준치 10배 이상이라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며 “중금속 오염 물고기가 새들의 떼죽음과 무관하지 않다면, 인간 역시 안전할 수 없는 것은 자명하다”고 우려했다. 이어 “안동댐 상류 오염원에 대한 즉각 조사 시행과 물고기의 중금속 오염과 새의 떼죽음 원인을 있는 그대로 밝혀줄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 함께한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낙동강 발원지인 안동댐 최상류 지역 하천에 10km이상 상당히 넓은 지역에 퇴적층이 쌓여있고 그것이 중금속으로 덮혀있으며, 내수면 물고기에서 중금속이 검출되고 있다”며 “영남권 1300만명의 식수가 안동댐에서 발원하는만큼 국민의 건강과 안전 측면에서 최우선 과제로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