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식약처 '당류저감화' 핵심 빠졌다, 나트륨 저감화 정책 되풀이

"음료류 등 당류 주요 급원 가공식품 저감예산 편성 안됐다"
"대체당 사용 등 기술지원, 당류 저감화 노력 촉구 적극 검토"

 

정부가 추진 중인 당류 저감화 정책이 기존 나트륨 저감화 사업 방향과 동일,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당류 저감화 사업 고유의 특성이 반영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를 위해 음료류 등 당류 주요 급원인 가공식품에 대한 당류 저감정책이 적극 반영돼야 한다는 것이다.


31일 식약처 등에 따르면 국회사무처 복지위 정순임 전문위원은 식약처 2017년도 세입.세출예산안 검토보고를 통해 "내년도 당류 저감화 추진계획을 살펴보면 ▲소비자의 식습관 개선, ▲공급자 측면에서의 당류 저감 지원, ▲관련 부처 및 소비자단체, 식품업계, 학계 등과의 협력 3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면서 "이는 기존의 나트륨 저감화 사업의 추진방향과 동일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당류 저감화 사업 고유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면밀한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 4월 식약처는 '제1차 당류저감 종합계획(2016~2020)'을 발표하고 2020년까지 가공식품(우유 제외)을 통한 당류 섭취량을 하루 열량의 10% 이내로 관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올해 국민영양 안전관리 사업 예산으로 전년대비 2억 9700만원이 증가한 23억 3400만원을 편성했다. 이 중 당류 저감화 사업을 위한 예산 5억원이 신규 반영됐다. 세부내역을 살펴보면 덜 달게 먹는 식습관 유도 2억 500만원, 당류 저감 식품 선택환경 조성 2억 9000만원, 당류 저감정책 추진기반 구축 500만원 등이다.


정 전문위원은 "나트륨은 주로 외식과 국물음식의 과다한 섭취가 가장 큰 문제였던 반면 당류는 가공식품으로 인한 섭취가 주요 문제"라며 "가공식품 중에서도 당류 섭취가 가장 많은 식품은 음료류(13g)이며 빵.과자.떡(6.12g), 설탕 및 기타 당류(5.8g)등 순으로 과일이나 우유를 통한 천연당 섭취에 비해 가공식품을 통한 섭취는 대사질환 위험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는 등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를 특히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실제 2013년 우리 국민의 1일 당류 섭취량은 72.1g로 조사됐는데, 이 중 44.7g(62.0%)이 가공식품을 통해 섭취되며 15.8(22.0%)은 과일, 8.3%(11.5%)은 과일을 제외한 원재료성 식품을 통한 섭취로 나타났다. 특히 어린이.청소년.청년층(3~29세)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은 적정 섭취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어린이.청소년 대상의 식습관 개선 홍보, 소아비만 캠프 연계 당류 저감 프로그램 등은 사업 효과가 기대되지만 저감 식품 선택환경 조성 사업에는 당류 저감메뉴 개발, 저감 급식 조리법 보급 및 기술 지원 내용만이 편성돼 음료류 등 당류의 주요 급원인 가공식품에 대한 당류 저감내용이 편성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가공식품을 통한 섭취를 줄일 수 있도록 소비자 식습관 개선을 위한 캠페인.홍보와 함께 가공식품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대체당 사용 등 기술지원 및 당류 저감화 노력 촉구 등이 적극 검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앞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김명연 의원(새누리당)은 식약처가 당류 저감 종합계획을 수립하면서 식품업계의 반발을 의식해 일부 조항을 삭제하거나 순화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김 의원에 따르면 지난 3월 식약처가 수립한 당류 저감화 내부 계획을 보면 당류 함량을 표시해야 하는 식품에 설탕·기타 당류(엿류, 시럽류)가 포함됐지만 4월에 최종적으로 발표된 계획에는 설탕·기타 당류가 삭제됐다. 어린이 기호식품에는 영양표시를 의무화해야 한다는 내용도 3월 계획에는 있었으나 4월 최종 발표에는 제외됐다.


아울러 당류 줄이기 실천 방법으로 제시된 '시럽·탄산음료 줄이기 운동' 계획은 '단 음료 대신 물을 충분히 마시기' 등으로 순화해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