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메르스 전문가 "3차 피크 최소화에 총력 다해야"

'병원보호 실패하면 2차 피크만큼 올라가 접촉자 면밀히 관찰해야"
"정부 위기관리 소통 실패 신뢰 회복해야...선제적 조치 필요"
"병원 지원 필요...의료인 사기 꺾지 않는 정책 도입해야"


국회 복지위, 메르스 확산 방지 전문가 대책 논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위원장 김춘진)는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전문가로부터 중동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확산 방지를 위한 대처 방안에 대한 의견을 들었다.

이날 참석한 전문가들은 메르스에 대한 정보 부족 등으로 초기 대응이 늦어졌다며 3차 피크도 2차 피크만큼 올라갈 수 있는 만큼 접촉자에 대한 면밀한 관찰을 통해 새로운 환자 양산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이 자리에는 이재갑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전 질병관리본부장인 전병율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 최보율 한양대 의과대학 교수, 최재욱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장이 참석했다.

이재갑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는 "평택성모병원에서 발생한 1차 피크는 끝나가고 2차 피크가 정점을 향하고 있다"며 "현재 상태에서 병원 보호에 실패하면 3차 피크도 2차 피크만큼 올라갈 수 있는 만큼 3차 피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약속해야 민간 병원이 메르스 환자를 돌보는데 적극적으로 동참할 것"이라며 "장관과 차관들이 민간병원 경영진을 만나 확진 환자가 입원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을 약속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전병율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 역시 이재갑 교수의 의견에 같은 생각이라면서 "환자가 국내에 입국한 이후에 검역을 거치지 않고 관리됐고 의료기관은 진료 과정에서 메르스 질병을 의심하지 않고 무방비 상태로 진료했기에 다수의 확진 환자가 발생했다"며 "조기 역학조사 과정에서 환자의 접촉 범위를 너무 좁게 생각했다"고 지적했다.


전 교수는 "의심환자에 대한 확인이 늦어졌고 때문에 많은 병원에서 감염에 노출됐다"며 "서울 삼성병원의 접촉자 관리에 있어 환자들이 보건기관 신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또 많은 접촉자를 만들어내는 그런 과정이 오늘 2건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일과 모레 2차 진원지인 서울 삼성병원의 추가 환자가 감소 추세에 있으면 1차와 2차에 의한 메르스 환자의 통제는 가능한 범위에 들어온다"며 "산발적 접촉이라도 접촉자에 대한 면밀한 관찰을 토대로 새로운 환자를 양산하지 않는 일이 지금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전 교수는 또한 "발열,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면 어디서 진료를 받을지 고민하다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의심증상 환자들이 전화롤 질문할 경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며 "정부는 특정병원을 안내하고 적극적인 대국민 홍보를 통해 다른 기관으로 환자가 유입되는 걸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각종 물품과 예산 등을 사후 정산토록 해 현장에서 의료진과 환자, 보호자가 감염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며 "보건당국은 메르스와 전쟁을 벌이는 의료인의 사기가 꺾이지 않도록 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전 교수는 아울러 "과도한 불안감을 사태 수습에 도움 되지 않는다"며 "공포감을 느낄 정도가 아니라는 걸 국민들에게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최보율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도 "'강력한 방역조치'에 동의하지만 '강력하고 치밀한'이라는 표현이 나오면 국민 불안은 자연스럽게 올라간다"면서 "위기를 적정하게 인식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만 부적절한 불안감을 줄여주는 것도 상당히 중요하다"고 밝혔다.


최재욱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장은 "관련 의료정보가 조속히 공개돼야 2차, 3차 확산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그 부분이 적절히 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 소장은 "지역 보건소를 중심으로 자가격리 관리가 이뤄지고 있지만 순창 할머니 사례처럼 고령의 노인들에게 자가격리를 강요하기 보다는 자가격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빨리 시설격리로 갈 수 있도록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0.1%의 가능성만 있어서 정부가 선제적으로 개입해 확산을 막아야 하는데 정부의 위기관리 소통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며 "공중보건위기관리시스템 등 보건의료체계 정상화를 시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