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집단급식 HACCP 제도 활성화 방안>"소규모 급식소용 HACCP 시스템 개발해야"

'제6회 HACCP 정책포럼'...문혜경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

"HACCP 적용을 확대하려면 HACCP에 드는 비용, 업무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소규모 급식소용 HACCP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


문혜경 창원대 교수는 4일 여의도 태영빌딩 T-아트홀에서 열린 '제6회 HACCP 정책포럼'에서 집단급식분야 HACCP 제도 활성화 방안에 대해 이 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서 문 교수는 "한때는 위탁급식회사들이 HACCP 적용업장 수를 확대하는 추세를 보이기도 했지만 지금은 1~2개의 HACCP 적용업장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며 "현재 18개소에 불과한 HACCP 적용업장의 집단급식소 유형을 보면 산업체 9개소, 관공서 5개소, 병원 4개소다. 이중 위탁업장은 13개소, 직영업장은 5개소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HACCP 지정 집단급식소 실태조사에 따르면 HACCP 적용 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시설설비부담', '과중한 업무부담', '전문인력 부족' 순으로 조사됐고 HACCP 적용 유지 시 가장 어려웠던 점은 '지속적인 시설.설비투자', '과중한 업무부담', '소모품 비용 등 HACCP 유지비용'으로 나타났다"며 "HACCP 적용을 확대하려면 HACCP에 드는 비용이나 업무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교수는 또 "대기업 위탁급식회사들이 HACCP 적용업장을 운영하면서 익힌 노하우를 통해 전체 위탁급식장들에 적용 가능한 자체 HACCP 매뉴얼을 개발해 나름대로 자율적으로 HACCP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구태여 비용이나 업무가 부담되는 HACCP 인증을 받지 않는 추세"라며 "이런 자율적인 HACCP 적용업장을 식약처의 HACCP 인증을 받도록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인지 인센티브 등 정책적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문 교수는 교육부와 식약처가 별도로 실시하고 있는 학교급식 HACCP 시스템에 대해서는 "모든 학교 급식소가 식약처의 HACCP 인증을 받기는 어렵지만 각 교육청 별로 시설.설비나 인력, 예산 등에서 가능한 학교 급식소를 시범적으로 1~2개소에 한해 인증 받게 한다면 추후 이런 학교가 모델이 돼 위생관리 수준의 향상을 확산시킬 수 있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어린이 급식소에 대해서는 "식약처의 단체급식용 HACCP 관리계획과 71개에 달하는 선행요건은 소규모 급식소에 큰 부담이 된다. 정책적으로 소규모 급식소용 HACCP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현재 일부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가 제대로 된 위해분석이나 미생물 실험 데이터의 뒷받침 없이 학교급식의 CCP들을 모방해 자체 HACCP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며 "HACCP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HACCP 교육원들이 이제까지는 주로 식품제조가공업체를 중심으로 HACCP을 적용하는데 초점을 두고 교육을 시행했기 때문에 향후 집단급식 HACCP 제도가 활성화되려면 각 급식소 유형에 맞는 전문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교육해야 한다"고 말했다.